더파워

2025.07.13 (일)

더파워

기업 경기 전망 35개월 연속 부정적…내수‧수출‧투자 8개월 연속 트리플 악화

메뉴

경제

기업 경기 전망 35개월 연속 부정적…내수‧수출‧투자 8개월 연속 트리플 악화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5-01-22 14:08

소비·투자 촉진을 위한 민생경제·기업지원 법안 신속 처리 필요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더파워뉴스=최병수 기자) 한국경제인협회가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경기실사지수를 조사한 결과, 2월 BSI 전망치는 87.0을 기록하면서, 2022년 4월부터 기준선 100을 2년 11개월 연속 하회했다.

BSI는 지난 1월에 이어 역대 최장기 연속 부진을 경신하고 있다.

2월 BSI 전망치(87.0)는 1월(84.6)에 이어 2개월 연속 지수값 80대의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지수가 연속으로 80대의 부진값을 나타낸 것은 2022년 10월부터 2023년 2월까지 연속 5개월 이후 2년 만에 처음이다.

1월 BSI 실적치는 87.3로 조사됐다. 실적치 역시 2022년 2월(91.5)부터 3년 연속 부진으로 나타나 기업들의 실적 악화가 장기화되는 모습이다.

기업 경기 전망 35개월 연속 부정적…내수‧수출‧투자 8개월 연속 트리플 악화
업종별 2월 경기전망은 제조업(93.0)과 비제조업(81.4)의 동반 부진이 예상되나, 내수침체가 장기화되면서 비제조업이 더 큰 타격을 받는 모습이다.

제조업 BSI(93.0)는 2024년 4월(98.4)부터 11개월 연속 기준선 아래에 머물렀으나 전월(84.2) 대비 8.8 포인트 반등한 반면, 비제조업 BSI(81.4)는 지난달(84.9)에 비해 더욱 악화되면서 2020년 7월(72.4) 이후 4년 7개월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제조업 세부 업종(총 10개) 중에서는 반도체 장비 등이 포함된 일반ˑ정밀기계 및 장비(126.3)와 반도체가 포함된 전자 및 통신장비(105.3)가 호조 전망을 보였다. 이에 따라 한경협은 지난해 반도체 수출 호조가 올해 초에도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기준선 100에 걸친 의약품(100.0), 비금속 소재 및 제품(100.0), 자동차 및 기타운송장비(100.0)를 제외한 나머지 5개 업종은 업황 악화가 전망된다.

특히 최근 중국발 공급 과잉에 따른 업황 부진으로 철강이 포함된 금속 및 금속가공 제품은 9개월 연속, 석유정제 및 화학업종은 6개월 연속 지수값 100을 하회했다.

기업 경기 전망 35개월 연속 부정적…내수‧수출‧투자 8개월 연속 트리플 악화
비제조업 세부 업종(총 7개)은 정보통신(56.3), 건설(76.2)을 비롯한 전 업종의 업황 악화가 전망된다. 비제조업의 모든 세부 업종이 부진한 것은 2020년 7월 이후 4년 7개월만에 처음이다. 한경협은 국내 소비 부진 등의 악영향으로 부정적 전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고 풀이했다.

2월 조사 부문별 BSI는 모든 부문에서 부정적으로 전망됐다. 특히, 내수(86.2)는 지난 2020년 8월(82.7) 이후 4년 6개월만, 투자(87.9)는 지난 2020년 9월(84.6) 이후 4년 5개월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며 코로나 시기 이후 가장 악화된 수준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출(97.5)은 전월(90.2) 대비 7.3포인트 상승하면서 100에 근접했다. 한경협은 연초에도 수출이 호조를 이어갈 것으로 보이지만, 특정 업종에 제한될 것으로 전망되며, 내수가 좀처럼 회복이 어려워 수출과 내수의 양극화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풀이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고환율과 유가 상승, 대․내외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기업심리가 매우 악화되고 있다”며 “기업심리 부진이 장기화될 경우 투자․고용 등 실물경제가 과도하게 위축될 수 있으므로, 소비·투자 촉진을 위한 무쟁점 민생·기업지원 법안들을 조속히 처리하고, 상법 개정안 등 기업 활력을 저해하는 입법 논의는 지양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449,000 ▲77,000
비트코인캐시 690,500 ▲3,500
이더리움 3,980,000 ▲16,000
이더리움클래식 24,350 ▲100
리플 3,684 ▲35
퀀텀 3,022 ▲1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458,000 ▲120,000
이더리움 3,981,000 ▲16,000
이더리움클래식 24,370 ▲150
메탈 1,055 ▲4
리스크 596 ▼7
리플 3,687 ▲35
에이다 951 ▲9
스팀 191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440,000 ▲70,000
비트코인캐시 692,500 ▲7,000
이더리움 3,980,000 ▲16,000
이더리움클래식 24,400 ▲150
리플 3,683 ▲31
퀀텀 3,053 ▲56
이오타 24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