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4 (월)

더파워

농심, 사우디아라비아 K-스마트팜 착공식 진행

메뉴

산업

농심, 사우디아라비아 K-스마트팜 착공식 진행

이설아 기자

기사입력 : 2025-04-23 09:43

농심이지난21일(현지시간기준)사우디아라비아리야드국립농업연구센터에서K-스마트팜중동수출거점조성을위한시범온실착공식을진행했다.농심은오는12월까지‘수직농장’과‘유리온실’두가지모델로2000㎡규모의스마트팜을조성할계획이다.사진왼쪽4번째부터사우디물환경농업부알압둘라티프차관보,알무샤이티차관,박범수농림축산식품부차관,문병준주사우디아라비아대한민국대사대리,안호근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황청용농심부사장
농심이지난21일(현지시간기준)사우디아라비아리야드국립농업연구센터에서K-스마트팜중동수출거점조성을위한시범온실착공식을진행했다.농심은오는12월까지‘수직농장’과‘유리온실’두가지모델로2000㎡규모의스마트팜을조성할계획이다.사진왼쪽4번째부터사우디물환경농업부알압둘라티프차관보,알무샤이티차관,박범수농림축산식품부차관,문병준주사우디아라비아대한민국대사대리,안호근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황청용농심부사장
농심이 지난 21일(현지시간 기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국립농업연구센터 내에서 박범수 농식품부 차관과 알 무샤이티 사우디 물환경농업부 차관 참석 하에 K-스마트팜 중동 수출 거점 조성을 위한 시범온실 착공식을 진행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착공식은 지난 2024년 7월 농심이 한국농업기술진흥권과 체결한 ‘스마트팜 수출 활성화 사업’의 일환이다. ‘스마트팜 수출 활성화 사업’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주최하고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이 주관하는 사업으로, 한국형 스마트팜 모델을 사우디아라비아 현지에 구축 및 운영해 국내 스마트팜 산업의 중동 현지 진출을 활성화하는 목적이다. 농심은 중소기업 3개사와 컨소시엄을 구성, 한국 기업을 대표해 추진하는 본 프로젝트에 선정됐다.

농심 스마트팜은 약 2000㎡ 규모로 올해 12월까지 완공할 계획이며, 첨단농업용 로봇, 환경제어 솔루션 등 다양한 K-스마트팜 기술을 선보인다.

농심은 이번 스마트팜을 ‘수직농장’과 ‘유리온실’ 두 가지 모델로 조성한다. 수직농장에서는 프릴드아이스 · 케일과 같은 엽채류를, 유리온실에서는 방울토마토, 오이, 파프리카 등을 재배한다. 단맛을 선호하는 중동 현지인 입맛에 맞춰 쓴맛이 덜한 엽채류, 단맛을 느낄 수 있는 과채류 품종을 중심으로 생산한다는 방침이다.

농심이 생산한 작물은 사우디 현지 파트너사의 기존 유통망을 통해 우선 판매하고, 향후 현지 유통매장인 까르푸, 루루 하이퍼마켓과 전자상거래 플랫폼 아마존, 눈(Noon) 등에도 입점할 계획이다.

농심은 이번 사업으로 중동 현지에서 ‘K-스마트팜’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관련 산업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현지 맞춤형 스마트팜 패키지를 안정적으로 운영하며 경쟁력을 확보하고, 나아가 작물 연구와 가공, 유통판매 등 스마트팜 연관 산업을 모은 클러스터를 구축해 세계 진출의 교두보로 삼을 계획이다.

한편, 농심은 2022년 오만에 컨테이너형 스마트팜을 처음으로 수출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의 발을 내디뎠다. 이후 2023년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와 스마트팜 수출 MOU를 맺어온 농심은 지난해 정부의 스마트팜 수출 활성화 사업에 선정되어 이날 착공식에 이르게 됐다.

농심 관계자는 “대한민국을 대표해 사우디 현지에 ‘K-스마트팜’의 우수성을 알릴 계획”이라며, “이번 사우디 스마트팜 착공을 계기로, 농심 스마트팜 글로벌 진출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820,000 ▲100,000
비트코인캐시 687,500 ▲1,000
이더리움 4,044,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5,130 ▲70
리플 3,859 ▼2
퀀텀 3,142 ▲1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810,000 ▲60,000
이더리움 4,047,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5,140 ▲80
메탈 1,076 ▲1
리스크 599 ▼2
리플 3,861 ▼3
에이다 1,006 ▲3
스팀 198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840,000 ▲150,000
비트코인캐시 686,000 ▼1,000
이더리움 4,056,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5,040 ▲120
리플 3,844 ▼15
퀀텀 3,147 ▲10
이오타 29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