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이경호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각국에 보낸 ‘관세 서한’의 시한으로 제시한 8월 1일에 실제로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경고가 백악관 고위 당국자를 통해 공식화됐다. 트럼프 대통령이 원하는 수준의 무역 합의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상호관세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은 13일(현지시간) A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대통령이 자기가 생각하기에 충분히 좋은 합의를 얻지 못하면, 관세는 진짜로 부과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대화는 계속되고 있으며, 결과는 지켜봐야 한다”고 여지를 남겼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유럽연합(EU·30%), 멕시코(30%), 캐나다(35%) 등 주요 무역 상대국에 8월 1일부터 고율 관세를 적용하겠다는 서한을 보낸 바 있다. 해싯 위원장은 “대통령은 현재까지 보고받은 협상 결과에 만족하지 않고 있으며, 더 나은 조건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브라질에 통보한 50%의 고율 관세는 자이르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이 쿠데타 모의 혐의로 기소된 것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불만이 작용한 조치라는 설명도 덧붙였다. 트럼프는 해당 재판을 ‘정치적 박해’라고 주장하며 지난 9일 브라질에 기존보다 40%포인트 인상한 상호관세를 통보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구리에 대해서도 8월 1일부터 50%의 고율 관세를 예고한 상태다. 해싯 위원장은 “전쟁이 발발할 경우 무기 생산에 필요한 구리는 미국 안보의 핵심 자원”이라며 안보 논리를 관세 부과 근거로 들었다. 그는 “미국산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에는 영향이 없고, 미국에 구리를 덤핑하는 국가들이 대부분의 부담을 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유럽연합과 멕시코 등 관세 서한을 받은 국가들은 대응에 나서고 있다. EU는 당초 14일 발효 예정이던 대미 보복 관세를 유예하고 협상에 집중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우리는 협상을 통한 해결을 선호한다”며 남은 시간을 최대한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도 “미국과의 합의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며 국경 보안을 강화하는 방식의 협상 타결 가능성을 시사했다. 멕시코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서한에서 언급한 ‘마약 밀반입 차단’을 위한 국경 조치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압박이 실제 부과로 이어질 경우, 글로벌 공급망과 외교 관계에 적지 않은 파장이 예상된다. 백악관은 “미국 산업 보호와 무역 불균형 시정”을 관세 부과의 명분으로 내세우고 있지만, 정치적 의도가 작용하고 있다는 비판도 함께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