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유연수 기자] 국내 철강, 석유화학, 반도체, 데이터센터 등 4대 에너지다소비 산업의 무탄소전력 수요가 2042년에도 약 21.4TWh 부족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이는 서울시의 연간 전력소비량(2024년 기준 45.8TWh)의 약 46.7%에 해당하는 규모다.
한국경제인협회는 14일 발표한 'PPA 제도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히며, 무탄소전력 조달을 위한 제도 개선의 시급성을 강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4대 산업은 저탄소 전환과 글로벌 원청기업의 탄소중립 요구에 따라 무탄소전력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다. 철강업계는 수소환원제철, 석유화학업계는 전기가열 방식의 나프타분해(NCC) 도입을 확대 중이며, 반도체·AI 데이터센터 등 첨단산업 역시 넷제로 달성을 위한 전력원 전환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무탄소전력의 충당률은 2025년 53.4%에서 2038년 81.6%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2042년에도 21.4TWh의 전력이 여전히 부족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재생에너지 발전량 증가율(연 8.7%)이 전력소비 증가율(연 5.2%)을 웃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요 확산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한경협은 이러한 초과수요 문제 해결을 위해 ▲전력구매계약(PPA) 이행비용 경감 ▲전력배출계수 연단위 공고 ▲PPA 조달범위 확대 등 세 가지 정책과제를 제시했다.
현재 국내에서 PPA를 통해 조달 가능한 무탄소전력원은 재생에너지로 제한돼 있다. 한경협은 여기에 기존 원전을 포함시켜 조달 가능성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원전 이용률을 최근 5개년 평균(79.4%)보다 10%포인트 높이고, 이를 PPA 대상에 포함시킬 경우 2042년 무탄소전력 충당률은 93.0%에서 101.8%로 8.8%포인트 높아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또한 PPA 확대를 위해서는 현재 기업이 부담하는 전력거래대금 중 망이용료, 전력기반기금 등 부대비용에 대한 한시적 면제 또는 경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기준이 되는 전력배출계수는 비정기적 발표로 인해 배출량이 과다 계상되는 문제가 있어, 이를 최소 연단위로 고정해 공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경협 이상호 경제산업본부장은 “경영 부담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무탄소 전력 수급까지 책임져야 하는 기업들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며 “기업이 자율적·효율적으로 무탄소전력을 선택하고 수급할 수 있는 제도적 환경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