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이상훈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목표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대화에 여전히 열려 있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미국과의 비핵화 협상은 불가능하다고 밝힌 직후 백악관이 즉각 대응하며 북미 간 외교적 줄다리기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백악관 고위 관계자는 28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 핵 프로그램을 종식시키기 위해 김정은 위원장과의 대화에 여전히 열려 있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목표에 계속 전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는 앞서 같은 날 발표된 김여정 부부장의 담화 이후 나온 입장이다. 김 부부장은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으려는 시도는 철저히 거부될 것”이라며 “비핵화를 전제로 한 미국과의 협상은 하지 않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
다만 그는 “두 핵보유국이 대결적으로 나아가는 것이 결코 서로에게 이롭지 않다는 점을 인식할 최소한의 판단력은 필요하다”며, 비핵화를 제외한 새로운 형태의 접촉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는 미국과의 외교를 전면 차단하기보다는 조건에 따라 대화의 틀을 바꿀 수 있다는 신호로 풀이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취임 이후 북한의 핵 보유 현실을 일정 부분 인정하는 듯한 발언을 이어오면서도, 공식적으로는 완전한 비핵화를 정책 기조로 유지해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김 위원장과 세 차례 정상회담을 갖는 등 ‘톱다운 방식’의 외교를 주도해왔다.
한편, 국제사회는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유엔 안보리는 결의 1718호를 통해 북한이 핵확산금지조약(NPT)에 따른 핵보유국으로 인정받을 수 없음을 명시하고 있으며, 미국 국무부도 “북한은 핵보유국이 아니다”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번 백악관의 발언은 김여정 부부장의 강경 메시지에도 불구하고 외교의 문을 닫지 않겠다는 의지를 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북미 간 비핵화 해법에 대한 인식 차가 여전히 크다는 점에서 단기간 내 협상 재개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