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9.24 (수)

더파워

“고흥군수협은 군민 분열 조장하는 해상풍력 반대 주도 그만해야”

메뉴

전국

“고흥군수협은 군민 분열 조장하는 해상풍력 반대 주도 그만해야”

손영욱 기자

기사입력 : 2025-09-24 15:33

400여명 ‘해상풍력 결사반대 총 궐기대회’ 상여 시위
고흥군 ‘김 양식장 내 설치 제외’ 결정…비대위 결성 명분 사라져 호소력 잃어
어선어민들 “이제와서 조직적으로 이용하려 끌어안아” 수협 이중적 행태 ‘비난’
수협 임직원 “시위에 꼭 참여해야 더 많은 보상받는다” 시위 동참 유도 밝혀져

▲   고흥군해상풍력반대대책위 소속 400여명은 23일 오후 3시부터 5시 사이 고흥군청 앞을 출발해 고흥읍 일원 한 바퀴를 도는 ‘해상풍력 결사반대’ 시위를 벌였다. (사진=더파워뉴스 손영욱 기자)
▲ 고흥군해상풍력반대대책위 소속 400여명은 23일 오후 3시부터 5시 사이 고흥군청 앞을 출발해 고흥읍 일원 한 바퀴를 도는 ‘해상풍력 결사반대’ 시위를 벌였다. (사진=더파워뉴스 손영욱 기자)
[더파워 손영욱 기자] 고흥군수협이 ‘김 양식장 내 민간해상풍력 절대불가’를 표방하며 시산도 김 양식 어민들을 주축으로 결성한 ‘고흥군해상풍력반대대책위원회(이하 해풍반대위)’의 계속되는 반대 시위를 놓고 합당한 보상과 미래 에너지연금을 기대하는 어민·군민들 사이에 ‘명분 없는 반대’라는 뒷말이 무성하다.

이들은 특히 고흥군이 ‘해풍반대위’의 의견을 받아들여 김 양식장 내 민간해상풍력 산자부 불허 를 주도했는가 하면, 지난 16일에는 ‘수산 발전을 위한 민관협의회의’를 열어 “김 양식장 내 공공개발 대상에서 제외” 방침을 공언했음에도, 더 나아가 고흥군 전체 해상에서의 해상풍력 반대를 주장해 그 배경에 의혹이 뒤따르고 있다.

‘해풍반대위’ 400여 명은 23일 군청에서 읍내를 거치는 ‘해상풍력반대 총 궐기대회’를 갖고 “고흥군이 일방적인 사업추진을 하고 있다” 외치며 상여 반대 시위를 벌였다. 이에 대다수 어민들은 “‘해풍반대위’는 김 양식장에서의 해상풍력 설치 반대를 위해 결성된 만큼 이제는 반대할 명분이 사라졌다”며 비난하고 있다.

그 근거로 어민들은 “‘해풍반대위’는 자신들의 영향력을 과시하기 위해 지난 6월 23일 위원회를 만든 이후 어선어민들의 동참을 집요하게 부추기고 있다”며 “이를 위해 각 수협의 지점장과 소속 임직원들이 각자가 맡은 어선어민 단체 어민들을 상대로 연일 참여 독려 방문과 전화를 해오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아울러 이들은 “고흥수협 임직원들이 ‘시위에 반드시 참여해야만 고흥군이 추진하는 해상풍력에 더 많은 보상을 받을 수 있다며 유도해 왔다’”고 밝혀, 고흥수협이 어선어민들을 조직적으로 이용해 군민간 갈등을 조장하고 있다는 빈축과 함께, 수협중앙회의 방침에도 배치된다는 여론이다.

수협중앙회는 중앙회의 주도로 지난 3월25일 ‘해상풍력 보급 촉진 및 산업 육성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 “수산업계의 우려와 현실을 실제적으로 반영하고, 어업인 보호 및 이익공유를 명시함으로써 갈등 완화 및 수산업과의 상생이 가능한 제도적 기반이 조성됐다”고 평가한 데서다.

해상풍력에 찬성하는 어선어민들 역시 “어족자원 고갈에 그나마 대체할 수 있는 생계수단으로 해상풍력을 원하고 있는데, 어민의 대표기관인 지역수협이 자본력과 발언권을 가진 김양식 어민들에 의해 여론이 호도되는 사유물로 전락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고흥군수협은 어선어업 구역의 축소에 대해서는 방관해오면서, 김 양식장 확장에는 신경을 쓰는 등 위판고의 상당을 차지하는 200여명의 김 어민들을 위해 존재하는 수협이다”며 “그런데 이제 와서 어민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어선어민들의 조작적인 힘이 필요해지자 다급히 언제 그랬냐는 듯 돌변했다”고 비아냥 했다.

이 같은 지역수협의 작태는 경남지역에서도 불거졌다. 통영 욕지도 앞바다에 추진 중인 해상풍력발전 시설에 찬성하는 어업인들은 최근 ‘경남 연안어업 해상풍력 대책위원회’ 명의의 호소문을 내고 수협의 이중적인 행태를 비난했다.

이들은 호소문에서 “그동안 욕지도 해상풍력에 대한 어업인의 의견은 일부 수협과 환경단체가 반대라는 명목으로 여론을 호도하면서 실제 어업인의 목소리가 왜곡되는 일이 반복돼 왔다”며 “수협의 독단적이고 편향된 의견만이 어업인의 의견인 것처럼 알려졌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경남도는 해상풍력 소통협의회를 운영하고 있으나 일부 지역에서는 직접 이해관계자인 어업인을 배제한 채 수협 단체장만 참여하고 있다”며 “이로 인해 어업인의 알권리가 무시되고 갈등이 조장돼 협의체 회의조차 열리지 못하는 상황이다”고 분노했다.

무엇보다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고흥지역에 일자리 창출과 미래 소득원인 연금 수령에 대해 6만 군민들이 적극 반기고 있다는 사실이다.

어선어민단체 A씨는 “고흥에는 3천여명에 달하는 어민들이 있는데 400명에 불과한 김양식 어민들이 고흥수협을 주도로 무작정 반기를 들고 있다”며 “갈수록 어획량은 고갈되고 어민들의 나이도 고령화가 되어 당장 5년 뒤에는 일손들을 놓아야 할 처지다”고 반겼다.

지역 어촌계 B씨는 “지역 정치의 논란 조성을 위하여 갑작스럽게 갈등의 소재로 해상풍력을 이용하는 것에 좋지 않은 시선을 보내는 이들이 적지 않다”며 “최근 여러 논란에 휩싸여있는 수협중앙회의 보궐 선거에 대비하여 수협중앙회장으로서의 행보를 위해 해상풍력 반대론을 자신의 아젠다로 삼았다는 시각도 있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고흥군 관계자는 “그동안 63번의 설명회를 통해 어민 의견을 적극 반영하고 있으며, 공존대책위원회를 구성하여 보다 합리적인 공공주도 해상풍력 사업이 되도록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고흥군에 계획대로 해상풍력이 진행될 경우 6만여 군민이면 누구나 4인가구 당 매월 약 70만원의 에너지연금을 수령하게 되며, 연 2만8천명 일자리 창출로 고흥주민 노후대책 및 인구 유입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한편 본지는 이홍재 해풍반대위원장(고흥수협장)의 견해를 듣기 위해 24일 오후 1시경 전화 연결을 시도했다. 그러나 고흥수협 직원으로부터 “회의 중”이라는 답변만을 들었고, 통화 요청 메모를 전달해 달라고 부탁했으나 현재까지 별도의 응답은 오지 않았다.

손영욱 더파워 기자 syu4909k@naver.com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472.14 ▼14.05
코스닥 860.94 ▼11.27
코스피200 480.39 ▼1.1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817,000 ▼119,000
비트코인캐시 792,500 ▼1,000
이더리움 5,928,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6,900 ▼40
리플 4,083 ▲12
퀀텀 3,089 ▲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881,000 ▼123,000
이더리움 5,926,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6,900 0
메탈 938 ▲6
리스크 460 ▲2
리플 4,082 ▲12
에이다 1,157 ▲3
스팀 175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880,000 ▼50,000
비트코인캐시 792,000 ▼2,000
이더리움 5,930,000 0
이더리움클래식 26,870 ▼70
리플 4,084 ▲12
퀀텀 3,066 0
이오타 24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