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이우영 기자]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13일 오전 8시 40분부터 전국 1310개 시험장에서 일제히 치러진다. 교육부는 12일 “전국 55만4174명의 수험생이 이날 예비소집에 참석해 수험표를 받고 시험 유의사항 등을 안내받는다”고 밝혔다.
올해 수능 응시자는 전년보다 3만1504명(6.0%) 늘며 2019학년도(59만4924명) 이후 7년 만에 최다를 기록했다. 재학생은 37만1897명(67.1%), 졸업생은 15만9922명(28.9%), 검정고시 등 기타 지원자는 2만2355명(4.0%)으로 집계됐다. 지난해보다 재학생은 9.1%, 기타 지원자는 11.2% 늘었으나 졸업생은 1.2% 줄었다.
특히 출산율이 높았던 2007년생 ‘황금돼지띠’가 고3으로 수능을 치르고, 의대 모집 인원이 증원 전 수준인 3123명으로 다시 축소되면서 경쟁이 한층 치열할 전망이다. 지난해 졸업생 응시자는 2025학년도 의대 정원 1497명 증원 영향으로 2004학년도 이후 21년 만에 최다를 기록했으나, 올해는 다소 감소했다.
시험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문·이과 구분 없이 국어와 수학 영역에서 공통과목을 응시하고, 선택과목 1개를 고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국어는 ‘화법과 작문’ 선택이 68.4%, ‘언어와 매체’가 31.6%였으며, 수학은 ‘확률과 통계’(57.1%)가 가장 많고 ‘미적분’(39.9%), ‘기하’(3.0%) 순이었다.
탐구영역에서는 사회탐구 과목을 택한 수험생이 41만1259명(77.3%)으로, 과학탐구 선택자 12만692명(22.7%)보다 크게 많았다. 이에 따라 사회·과학탐구 간 유불리 논란이 재점화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올해 수능은 교육과정에서 벗어난 초고난도 ‘킬러 문항’을 배제하는 기조를 유지한 가운데,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예고한 ‘적정 난도 문항’이 최상위권 변별력을 어떻게 가를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