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50세대 중장년 구직자가 재취업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조건으로 남성은 ‘임금 수준’(33.7%), 여성은 ‘근무 시간’(49.6%)을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가사와 돌봄 등 가족 내 역할을 병행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 근무시간의 유연성을 상대적으로 더 중시하는 경향이 뚜렷했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4050 중장년 구직자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재취업 인식 설문조사’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총 10년 이상의 근로 경력이 있고 현재 무직이지만 재취업 의향이 있는 만 40~59세 중장년층이다.
조사에 따르면, 이들이 주된 직장을 퇴직한 사유는 남성의 경우 ‘정리해고·권고사직’(22.5%), 여성은 ‘육아·돌봄·가사’(43.2%)가 가장 높았다. 구직활동을 하지 않은 이유로도 남성은 ‘휴식’(24.4%), 여성은 ‘돌봄·가사’(38.7%)가 각각 가장 많아, 여성의 경제활동 단절이 가정 내 돌봄 역할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재취업 시 희망하는 최소한의 연봉은 평균 4,149만 원으로, 과거 직장에서 받던 급여의 약 75% 수준이었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4,447만 원, 여성은 3,862만 원을 희망했다. 근무 희망 연령은 평균 65.6세로, 남성(65.8세)과 여성(65.4세) 모두 정년 이후까지의 경제활동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
노후 준비 수준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76.3%가 ‘부족하다’고 답했으며, 주요 지출 부담으로는 생활비(35.7%) 외에도 자녀 교육비(17.7%), 의료비(16.9%), 대출 상환(15.8%) 등이 꼽혔다.
한편, 중장년 구직자가 재취업을 위해 가장 필요하다고 느끼는 정책으로는 ‘유연근무제 및 시간제 일자리 확대’(22.2%)와 ‘직무교육 및 경력전환 지원 강화’(22.0%)가 가장 많이 언급됐다. 특히 여성의 경우 유연근무제 확대 필요성을 응답한 비율(24.5%)이 남성(19.8%)보다 높아, 일·가정 양립을 위한 제도적 지원에 대한 수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협 이상호 경제산업본부장은 “경기침체 장기화로 중장년층 고용 기반이 약화되고 있다”며 “경제의 허리 역할을 하는 4050세대가 고용 정책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성별과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