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27 09:55
한국경제인협회(회장 류 진, 이하 ‘한경협’)가 올해 MSCI의 선진시장 지위 승격 후보군인 ‘관찰대상국(Watch list)’에 한국을 등재해줄 것을 요청하는 회장 명의의 서한을, MSCI의 헨리 페르난데스(Henry A. Fernandez) 회장과 주요 경영진에게 전달했다고 27일 밝혔다. MSCI는 6월 말 2024년 ‘연례 시장 분류 평가(Annual Market Classification Review)’를 발표할 예정이다. 아울러 한경협은 MSCI에 대한 기업 평가·분석 등을 수행하고 있는 글로벌 투자은행(IB) 및 리서치업체의 애널리스트들에게도 서한을 전달, 한국의 선진시장 승격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며 관심을 촉구했다고 덧붙였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한경협은...2024.05.27 08:42
올해 1분기에도 먹거리 물가 상승률이 소득 증가율을 웃돌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2분기에도 김밥, 치킨, 햄버거, 피자, 과자 등 주요 외식과 가공식품 가격이 줄줄이 올라 먹거리 부담이 이어지고 있다. 2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체 가구의 가처분소득은 월평균 404만6000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4% 늘어나는 데 그쳤다. 가처분소득은 이자와 세금 등을 내고 소비나 저축에 쓸 수 있는 돈이다. 반면 1분기 외식 물가 상승률은 3.8%로 가처분소득 증가율의 2.8배이고, 가공식품은 2.2%로 1.6배다. 먹거리 물가 상승 폭이 소득 증가 폭보다 컸다는 얘기다. 이런 현상은 2022년 3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7개 분기째 이어지...2024.05.26 12:45
올해 한국 수출이 9.3% 성장해 지난해의 침체를 벗어나지만, 9월부터 증가율이 둔화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수출 경기 회복력의 강화-하반기 수출 리스크 요인과 전망’ 보고서를 공개했다. 연구원은 최근 한국의 수출 경기가 7개월 연속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지만, 기저효과를 감안하면 회복 수준이 강하지 않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세계 경제의 저성장 진입이 한국 수출 확장에 제약을 걸 것으로 진단했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세계 경제성장률은 코로나19 사태 이전(2011∼2019년) 평균 3.5%에서 코로나19 사태 이후(2022∼2029년) 평균 3.2%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개도국 경...2024.05.23 10:00
우리나라 근로자 평균임금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의 90%를 넘었고 격차가 계속 좁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회원국 중 남녀 임금 격차는 가장 크고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는 두 배 이상으로 벌어진 점은 문제점으로 꼽힌다. 23일 연합뉴스와 OECD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기준 한국 근로자 평균임금은 4만8922달러로 OECD 회원국 평균의 91.6%로 역대 가장 높다. 이 수치는 2019년 89.7%에서 2020년 90.4%로 90% 선을 처음 돌파했고, 2021년 90.6%에 이어 2022년 더 높아졌다. 한국 근로자 평균임금은 1992년 2만6000달러 수준에서 2011년(4만252달러) 처음 4만달러 선을 넘은 데 이어 최근 5만달러 선에 근접해 OECD 평...2024.05.22 14:58
작년 4분기 임금근로 일자리가 30만개 가까이 늘었지만 20대와 40대의 일자리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2074만9000개로 1년 전보다 29만3000개 증가했다. 지난해 3분기(34만개 증가)에 비해 증가 폭이 축소된 것인데, 2022년 1분기 75만2000개 이후로 둔화하는 양상이다. 일자리는 사람 수를 기준으로 한 '취업자' 통계와 달리 근로자별로 2개 이상 집계될 수 있다. 가령 주중에 회사를 다니고 주말에는 학원 강사를 한 경우 취업자는 1명이나 일자리는 2개로 집계된다. 연령별 증감을 보면 60대 이상이 24만9000개 늘어 증가세를 주도했다. ...2024.05.22 08:50
지난달 생산자물가가 다섯 달 연속 상승을 기록했지만, 농림수산품 항목은 하락 전환했다. 2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4월 생산자물가지수는 전월(118.82)보다 0.3% 높은 119.12(2020년=100)로 집계됐다. 전월 대비로 지난해 12월 이후 다섯 달째 오름세다. 1년 전과 비교하면 1.8% 올라 전달(1.5%)보다 상승폭을 키웠다. 전월 대비 등락률을 품목별로 보면 농림수산품 물가는 축산물(1.6%)이 올랐으나 농산물(-4.9%), 수산물(-4.2%)이 내려 전월대비 3.0% 하락했다. 공산품은 0.7% 상승했다. 컴퓨터와 전자 및 광학기기(1.8%), 1차 금속제품(1.5%), 석탄 및 석유제품(1.7%) 등이 오른 영향이다.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 물가는 산업용도시가스(...2024.05.21 14:47
경기 침체 장기화로 국내 기업들의 경기 전망은 여전히 부정적이지만, 국내 주요 산업인 반도체 경기 전망은 호전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경기실사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올해 6월 BSI 전망치가 95.5를 기록했다고 21일 밝혔다. 한경협에 따르면 BSI 전망치는 2022년 4월(99.1)부터 기준선 100을 27개월 연속 하회하고 있다. 다만, 반도체가 포함된 전자․통신장비(105.9)와 수출(101.0)은 각각 2022년 10월(95.0) 및 2022년 4월(97.4) 이후 처음으로 기준선 100을 상회하며, 산업 전반의 경기개선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반면 5월 BSI 실적치는 96.9로 나타나, 기업들의 ...2024.05.21 09:18
경제 전반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을 나타내는 소비자심리지수(CCSI)가 이달 들어 하락세로 돌아섰다. 이른바 ‘3고’(고물가·고금리·고환율) 현상이 지속된 영향이다.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2024년 5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8.4로 한 달 전보다 2.3p 하락했다.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올해 1월 들어 101.6을 기록한 뒤 2월(101.9)과 3월(100.7), 4월(100.7)까지 100 이상을 웃돌다 5월 하락세로 전환했다. CCSI는 소비자동향지수(CSI)를 구성하는 15개 지수 가운데 현재생활형편·생활형편전망·가계수입전망·소비지출전망·현재경기판단·향후경기전망 6개 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지표다. 지수가...2024.05.20 09:19
올해 들어 폐업 사유로 소기업·소상공인 대상의 공제 제도인 '노란우산' 공제금을 받은 소상공인이 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이 중소벤처기업부·중소기업중앙회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1∼4월 노란우산 폐업 사유 공제금 지급액은 5442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9.9% 늘었다. 공제금 지급건수는 4만3000건으로 9.6% 증가했다. 폐업 공제금 지급액과 지급건수는 지난해 1조2600억원과 11만건으로 처음 1조원과 10만건을 넘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노란우산은 중기중앙회가 운영하고 정부가 감독하는 소상공인·소기업 지원제도로 직장인의 퇴직금과 비슷하다. 적...2024.05.19 12:47
우리나라 정부 부채가 인구 고령화 등의 문제로 2045년쯤 국내총생산(GDP)을 넘어서는 수준으로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19일 블룸버그 산하 연구기관인 블룸버그인텔리전스(BI)에 따르면 권효성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재정 전망 보고서를 통해 현재 57% 수준인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이 2030년께 70%에 이어 2045년께 100%에 이르고 2050년께 120%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급속한 인구 고령화와 저출산 속에 노동력이 감소하면서 세수는 부진한 흐름을 보이는 반면 사회보장 및 의료서비스 비용은 증가하면서, 20년 안에 부채의 지속가능성이 큰 걱정거리로 부상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인구 구조를 감안하면 잠재성장률도 하락...2024.05.17 08:48
취업자 수 증가폭이 20만명대를 회복했다. 수출 호조의 훈풍 속에 제조업 취업자가 10만명 늘었고, 돌봄 수요도 증가한 결과다. 다만 실업자는 8만1000명 늘며 3년 2개월 만에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17일 통계청이 발표한 '4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869만3000명으로 1년 전보다 26만1000명 증가했다. 올해 1~2월 30만명대를 유지했던 취업자 수 증가폭은 3월 17만3000명으로 급감했다가, 3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서며 20만명대를 회복했다. 연령별로 보면 청년층(15∼29세) 취업자가 8만9000명 감소했다. 40대 취업자도 9만명 줄었다. 30대는 13만2000명, 50대는 1만6000명, 60세 이상은 29만2000명 각각...2024.05.16 13:31
국민의 안전과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품목에 안전 인증이 없다면 해당 제품의 해외 직접구매가 원천 금지되는 조치가 다음 달 시행된다. 정부는 16일 인천공항 세관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개최된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를 통해 이같은 내용를 담은 '해외직구 급증에 따른 소비자 안전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지금까지 정식 수입절차를 거친 제품은 KC 인증 등 안전장치가 있었지만, 해외직구인 경우 KC 인증을 받지 않은 제품도 가능했다.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등을 통한 중국 이커머스 업체들을 통해 해외 직구 방식으로 국내 반입되는 제품 다수에서 인체 유해 성분이 검출되는 등 안전성 논란이 잇따르자 앞으로는 해외 직...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75.77 | ▼7.46 |
코스닥 | 800.47 | ▲2.77 |
코스피200 | 428.07 | ▼0.35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876,000 | ▲531,000 |
비트코인캐시 | 693,000 | ▲8,500 |
이더리움 | 4,002,000 | ▲3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640 | ▲270 |
리플 | 3,715 | ▲51 |
퀀텀 | 3,064 | ▲3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885,000 | ▲685,000 |
이더리움 | 4,002,000 | ▲3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630 | ▲260 |
메탈 | 1,071 | ▲15 |
리스크 | 609 | ▲10 |
리플 | 3,715 | ▲59 |
에이다 | 964 | ▲16 |
스팀 | 194 | ▲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920,000 | ▲690,000 |
비트코인캐시 | 692,000 | ▲8,500 |
이더리움 | 4,001,000 | ▲3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640 | ▲260 |
리플 | 3,715 | ▲51 |
퀀텀 | 3,053 | 0 |
이오타 | 253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