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시장 안정 및 질서 유지 목적… 리츠 신고센터·임대차 분쟁조정위 등 설치
[사진제공=한국부동산원][더파워=박현우 기자] 부동산 조사·관리 및 공시·통계 전문기관인 한국감정원이 51년 만에 ‘한국부동산원’으로 사명을 바꾸고 새로 출범했다.
앞서 감정원은 지난해 한국감정원법 개정에 따라 기관 성격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감정 평가를 대폭 줄였지만 사명에 ‘감정’이라는 단어가 들어가 오해를 빚었었다.
이에 국토교통부에서는 ‘한국부동산조사원’을 새 사명으로 제시했지만 업무 확장성 등을 고려해 한국부동산원이 최종 채택됐다.
한국부동산원은 대구 동구 신서동 본사에서 비대면 방식으로 출범식을 갖고 본격적인 업무에 나섰다고 10일 밝혔다.
부동산 시장 안정과 질서를 유지하고 부동산 시장에서 소비자 권익 보호와 부동산 산업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이 설립 목적이다.
한국부동산원은 부동산 시장의 조사·관리 및 부동산의 가격 공시, 통계·정보관리 등의 업무와 함께 기존 조직의 기능 강화와 신뢰 회복에도 힘쓸 예정이다.
한국부동산원은 리츠(REITs·부동산투자회사) 신고센터와 임대차 분쟁조정위원회 등을 설치해 소비자 보호와 부동산 시장관리 기능이 확대됐으며 내년 부동산 통계조사 표본을 최대 50% 늘릴 방침이다.
아울러 정보통신기술(ICT)·지리정보시스템(GIS) 기술을 융합한 모바일 현장 조사 및 공시가격 시스템 고도화를 통해 통계 과학화 및 정확성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김학교 한국부동산원장은 “지난 반세기 동안 축적한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최첨단 ICT 기술을 활용한 부동산 플랫폼 전문기관으로 거듭나 국민에게 더 다가가겠다”고 전했다.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