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신년사 발표… “코로나19 이후 경제 후유증에 대한 고민 필요할 것”
[사진제공=대한상공회의소][더파워=박현우 기자]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신년사를 통해 “내년에는 정치와 경제 이슈가 분리돼야 한다”고 밝혔다.
박용만 회장은 30일 신년사를 발표하며 “새해에는 서울시와 부산시 보궐 선거를 포함해 본격적인 대선 정국으로 접어드는 정치 일정이 많다”며 “정치와 경제 이슈를 분명히 구분해 새해는 물론 2022년 이후에도 대처할 수 있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앞서 박 회장은 여당이 추진하는 ‘공정경제 3법(상법·공정거래법·금융그룹감독법)에 대해 “경제 법안을 정치적으로 처리했다”며 비판한 바 있다. 이번 박 회장의 신년사는 이에 대한 연장선으로 풀이된다.
박 회장은 “최근 ‘산업 안전’과 ‘집단소송제’, ‘2050년 탄소 중립’ 관련 법안과 정책 논의가 활발하다”며 “경제계와 소통하면서 수용 가능한 대안과 실천 가능한 해법을 모색해 주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또 그는 “새해에는 무엇보다 경제 역동성 회복을 위해 총력을 기울였으면 한다”며 규제혁신을 필요성을 강조했다.
박 회장은 “경제·사회가 성숙하기 위해선 법으로 규제하고 강제하기보다 자율적인 규범이 작동해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며 “우리 사회에서도 무리한 법의 잣대를 들이대기보다는 자율 규범이 형성될 수 있도록 조언과 격려를 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어 “낡은 법과 제도를 혁신해 기업·산업의 신진대사를 끌어올려야 한다”며 “2년 전 도입된 ‘규제 샌드박스’ 제도를 점검해 특례기간 만료 등 기업들의 사업 중단 우려를 해소하고 스타트업의 혁신 노력이 더 확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박 회장은 “새해는 우리 경제가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지만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후유증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이라며 “민간 부채와 자산시장 불균형, 고용시장 양극화 등 누적된 구조적 취약성에 해결책도 찾아야 한다”고 밝혔다.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