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접종 부작용 인과 관계 있을 시 국가가 피해 보상...6월까지 1200만명 접종 목표
23일 홍남기 국무총리 직무대행은 "현재까지 백신 도입 예정 물량이 지연된 사례가 단 한 것도 없다"고 강조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파워=김시연 기자] 홍남기 국무총리 직무대행이 23일 항간에서 제기되고 있는 백신 도입 지연 우려에 대해 “오늘 현재까지 백신 도입 예정 물량이 지연된 사례는 단 한 건도 없다”고 강조했다.
홍 총리대행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코로나19 백신·치료제’ 상황점검회의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코로나19 백신) 접종 속도를 기하급수적으로 빠르게 한다면 오는 11월 집단면역 추진이라는 목표를 이룰 수 있을 것”이라며 “일부 제약사와 상당 물량 추가 공급에 대한 협의가 매우 진전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일각에서 불확실한 정보를 토대로 백신 대란·도입 지연·접종 차질 등 과도한 불안감을 초래하고 있다”면서 “정부의 백신 추가 도입 노력은 기존 계약 차질 때문이 아닌 추가 소요 가능성 등을 감안했기 때문인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후 입원한 40대 여성 조무사가 사지마비 증세 등을 부작용을 보이는 것과 관련해서는 “백신 접종과 인과 관계 있는 피해가 발생하면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에 따라 보상이 이뤄진다”며 “연관성 검토와는 별도로 의료보험제도에 따른 치료비 보전 등 보호조치를 신속히 취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홍 총리대행은 백신 접종 및 계약과 관련 구체적인 수치도 제시했다.
그는 “코로나19 백신접종 57일만에 200만명을 넘어선 가운데 이달말까지 300만영, 오는 6월말까지는 1200만명 접종을 목표로 현재까지 차질 없이 (백신접종을) 진행 중이다”라고 밝혔다.
또 “계획된 도입 물량은 상반기 2080만회분, 하반기 1억3120만회분”이라며 “상반기 도입분 2080만회분은 4월까지 412만회분, 5월 376만회, 6월 1292만회 도입해 접종을 추진할 계획”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