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3 (일)

더파워

삼성 준법감시위, 금주 중 김지형 위원장 후임 인사 발표 예정

메뉴

정치사회

삼성 준법감시위, 금주 중 김지형 위원장 후임 인사 발표 예정

김시연 기자

기사입력 : 2021-12-22 13:54

김 위원장, 그동안 여러 차례 연임 불가 뜻 밝혀...1기 위원 6명 모두 교체 가능성 존재

22일 삼성 준법감시위원회가 이르면 금주 중 김지형 위원장(가운데) 후임자를 발표할 것으로 전해졌다. [사진제공=연합뉴스]
22일 삼성 준법감시위원회가 이르면 금주 중 김지형 위원장(가운데) 후임자를 발표할 것으로 전해졌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파워=김시연 기자] 지난해 2월 출범한 삼성 준법감시위원회가 곧 임기가 만료되는 김지형 위원장의 후임 인사를 빠르면 금주 중 발표할 예정이다.

삼성 준법감시위는 최고경영진(CEO)을 포함한 임직원으 불법행위를 근절하고 준법경영을 강화하기 위해 조직된 외부 독립기구다.

22일 업계 및 준법감시위 등에 따르면 준법감시위는 내년 2월 초 임기가 만료되는 김 위원장의 후임자 물색 작업에 착수했다.

준법감시위 위원장 및 위원들의 임기는 2년이며 한 차례 연임할 수 있다. 그러나 김지형 초대 위원장은 그동안 여러 차례 연임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혀왔다.

준법감시위는 근시일 내 차기 위원장 후보를 발표한 뒤 삼성전자·삼성물산·삼성SDI·삼성전기·삼성SDS·삼성생명·삼성화재 등 7개 협약사의 이사회 승인 절차를 거쳐 차기 위원장을 확정할 예정이다.

차기 위원장 선임에 따라 준법감시위 소속 위원 구성도 바뀔 것으로 보인다. 현재 준법감시위 외부 위원은 김 위원장을 포함해 고계현 소비자주권시민회의 사무총장, 권태선 시민사회단체 연대회의 공동대표, 김우진 서울대 경영대 교수, 봉욱 변호사, 심인숙 중앙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등 6명이다.

김 위원장을 주축으로 한 1기 준법감시위는 경영권 승계 및 노조 문제, 내부거래·일감몰아주기 등 공정거래 분야, 뇌물수수·부정청탁 문제, 시민사회 소통 등을 주요 의제로 설정하고 감시·개선·권고 등의 활동을 펼쳐왔다.

지난해 2월 출범한 삼성 준법감시위원회가 곧 임기가 만료되는 김지형 위원장의 후임 인사를 빠르면 금주 중 발표할 예정이다.

삼성 준법감시위는 최고경영진(CEO)을 포함한 임직원으 불법행위를 근절하고 준법경영을 강화하기 위해 조직된 외부 독립기구다.

22일 업계 및 준법감시위 등에 따르면 준법감시위는 내년 2월 초 임기가 만료되는 김 위원장의 후임자 물색 작업에 착수했다.

준법감시위 위원장 및 위원들의 임기는 2년이며 한 차례 연임할 수 있다. 그러나 김지형 초대 위원장은 그동안 여러 차례 연임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혀왔다.

준법감시위는 근시일 내 차기 위원장 후보를 발표한 뒤 삼성전자·삼성물산·삼성SDI·삼성전기·삼성SDS·삼성생명·삼성화재 등 7개 협약사의 이사회 승인 절차를 거쳐 차기 위원장을 확정할 예정이다.

차기 위원장 선임에 따라 준법감시위 소속 위원 구성도 바뀔 것으로 보인다. 현재 준법감시위 외부 위원은 김 위원장을 포함해 고계현 소비자주권시민회의 사무총장, 권태선 시민사회단체 연대회의 공동대표, 김우진 서울대 경영대 교수, 봉욱 변호사, 심인숙 중앙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등 6명이다.

김 위원장을 주축으로 한 1기 준법감시위는 경영권 승계 및 노조 문제, 내부거래·일감몰아주기 등 공정거래 분야, 뇌물수수·부정청탁 문제, 시민사회 소통 등을 주요 의제로 설정하고 감시·개선·권고 등의 활동을 펼쳐왔다.

한편 김 위원장이 연임 불가 뜻을 밝힘에 따라 기존 1기 위원들도 새롭게 구성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090,000 ▲124,000
비트코인캐시 689,000 0
이더리움 4,019,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4,710 ▲60
리플 3,770 ▲27
퀀텀 3,089 ▲1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999,000 ▲113,000
이더리움 4,019,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4,740 ▲80
메탈 1,046 0
리스크 594 ▲2
리플 3,766 ▲22
에이다 976 ▲7
스팀 192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130,000 ▲190,000
비트코인캐시 689,000 ▲500
이더리움 4,019,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24,720 ▲120
리플 3,768 ▲26
퀀텀 3,097 0
이오타 263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