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최병수 기자]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6일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경기실사지수를 조사한 결과, 1월 BSI 전망치는 88.5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BSI는 전월(12월, 85.4) 대비로는 3.1포인트 반등했지만, 2022년 4월(99.1)부터 9개월 연속 기준선 100을 하회하고 있다.
2022년 12월 BSI 실적치는 85.7을 기록해 2월(91.5)부터 11개월 연속 부정 전망을 보이며 기업들의 실적 악화가 장기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1월 업종별 BSI는 제조업(86.9)과 비제조업(90.3) 모두 2022년 6월부터 8개월 연속 기준선을 하회하며 동반 부진했다.
제조업은 의약품(100.0)을 제외한 모든 세부 산업이 기준치 100을 밑돌았다. 특히 국내 수출의 간판 업종인 전자통신(반도체 포함)은 10월부터 4개월 연속 하락하며 2020년 10월(71.4) 이후 27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77.8)를 기록했다.
전경련은 제조업 전망 부진이 국내외 경기침체로 인한 재고 증가에 주로 기인하며, 재고 증가는 최근 가동률 하락으로 이어지고 있어 생산·투자·고용에 연쇄적인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했다.
제조업 세부 산업 중에서는 전기·가스·수도(113.3)가 12월 말 전기요금 인상 결정을 앞둔 기대감으로 업종 전망이 가장 낙관적인데 반해, 건설(73.8)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분양시장 침체로 가장 비관적 전망이 나타났다.
1월 조사부문별 BSI는 모든 부문에서 부정적 전망(자금사정 86.3, 투자 87.9, 채산성 90.1, 수출 90.7, 내수 90.9, 고용 93.4, 재고 104.9)을 보여, 2022년 10월부터 4개월 연속 전 부문 부진했다. 특히, 내수(90.9), 수출(90.7), 투자(87.9)는 2022년 7월부터 7개월 연속 동시에 부진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기업들은 고물가‧고금리로 인한 생산비용 압박과 국내외 경기위축에 따른 매출감소‧재고증가의 어려움에 시달리고 있다”며, “기업들의 자금사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하고, 국회에 계류된 정부 법인세 감세안을 조속히 통과시킬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