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최병수 기자] 저출생·고령화 흐름이 빨라지면서 지난 6월 인구가 같은 달 기준 역대 최대폭으로 자연 감소했다.
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을 보면 6월 인구는 8205명 자연감소하면서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1981년 이후 6월 기준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출생아 수가 역대 6월 최소인 1만8615명, 사망자 수는 역대 6월 최대인 2만6820명을 기록했다.
올해 상반기 누적 인구 자연 감소 규모는 5만2032명으로 집계되면서 올해도 연간 10만명 안팎으로 인구가 자연 감소할 가능성이 커졌다.
연간 인구 자연증가 규모는 40년 전인 1983년에는 51만5000명에 달했으나 1993년 48만2000명, 2003년 24만9000명, 2013년 17만명으로 줄었다. 2021년과 지난해에도 인구가 각각 5만7000명, 12만4000명 줄어드는 등 자연 감소 폭은 커졌는데 올해까지 4년 연속으로 인구가 자연 감소할 것은 확실시된다.
통계청이 2021년 발표한 ‘장래인구추계: 2020∼2070년’를 보면 자연 감소 규모는 2020년 3만3000명, 2021년 5만3000명, 2022년 7만9000명, 2023년 10만1000명으로 점차 늘다가 2024년 11만명까지 감소하는 등 정점을 찍고 이후 2025년에는 10만7000명, 2026년 10만4000명 등 감소폭은 한동안 축소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중간 수준의 출산율과 기대수명을 가정한 중위 시나리오로 추계 값이다.
이 시나리오에 따르면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 수)은 지난해 0.77명, 올해 0.73명으로 줄다가 내년 0.70명으로 바닥을 친 뒤 2025년 0.74명, 2026년 0.78명으로 반등해야 한다.
하지만 올 2분기 합계출산율이 0.70명을 기록, 올해 연간 합계출산율이 0.6명대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인구 감소 추세는 더 심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