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4 (월)

더파워

SKT, AI로 실내∙외 유동인구 정밀 분석하는 ‘AI유동인구’ 개발

메뉴

산업

SKT, AI로 실내∙외 유동인구 정밀 분석하는 ‘AI유동인구’ 개발

이경호 기자

기사입력 : 2023-09-19 15:11

SKT,AI로실내∙외유동인구정밀분석하는‘AI유동인구’개발
SKT,AI로실내∙외유동인구정밀분석하는‘AI유동인구’개발
[더파워 이경호 기자] SK텔레콤은 자사의 AI 기반 위치 분석 플랫폼 ‘리트머스’에 실내 측위 기술을 결합해 실내 유동인구를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AI유동인구’ 기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기존 유동인구 분석 기술은 특정 지역 내 기지국 접속 정보를 기반으로 해 실외 이동 인구와 실내 체류 인구의 구분이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SKT는 기지국,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 전파 정보를 통해 실내∙외 인구 분석이 가능한 딥 러닝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리트머스에 적용해 실내 체류 인구와 실외 이동량 분석이 가능한 ‘AI유동인구’를 개발했다.

또한, 리트머스로 분석된 실내외 유동인구 외에 인구, 토지, 지역 등 사회경제적 특성을 고려해 지역 내 전체 인구 추정하는 전수화 기술을 적용, 측정 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였다.

SKT가 개발한 ‘AI유동인구’ 기술의 측정 데이터는 실내 체류 인구를 정밀하게 측정함으로써 공공 인프라, 교통, 재난, 환경 등에 관련된 수요 및 사업 계획을 위한 기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SKT는 리트머스 서비스의 일환으로 ‘AI 유동인구’ 기술 및 데이터를 고객사에게 제공할 계획이며, 현재 ‘AI유동인구’ 기술을 수도권 및 5대 광역시 상업 건물 일부에 적용했으며, 향후 적용 범위를 넓혀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SKT는 서울, 경기, 부산, 인천 등 지자체들과 리트머스를 통해 도시, 환경, 교통 문제를 해결하는데 협력하고 있다.

류탁기 SKT 인프라 기술담당은 “이번 ’AI유동인구’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실내∙외 구분이 불가했던 기존 유동인구 분석 기술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었다”며, ”실내 체류 인구 데이터는 이미 많은 수요가 있었고, 앞으로 활용처가 무궁무진한 만큼 다양한 협력 사례들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89.24 ▲13.47
코스닥 797.17 ▼3.30
코스피200 430.62 ▲2.5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4,169,000 ▲1,176,000
비트코인캐시 699,500 ▲7,500
이더리움 4,126,000 ▲42,000
이더리움클래식 25,770 ▲310
리플 3,980 ▲15
퀀텀 3,180 ▲2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4,255,000 ▲1,335,000
이더리움 4,132,000 ▲48,000
이더리움클래식 25,800 ▲340
메탈 1,088 ▲3
리스크 608 ▲4
리플 3,980 ▲15
에이다 1,037 ▲4
스팀 202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4,140,000 ▲1,150,000
비트코인캐시 700,000 ▲8,500
이더리움 4,127,000 ▲40,000
이더리움클래식 25,680 ▲230
리플 3,981 ▲13
퀀텀 3,155 0
이오타 316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