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9.18 (목)

더파워

종합소득 격차 1위 서울…상위 0.1% 연소득 65억원

메뉴

경제

종합소득 격차 1위 서울…상위 0.1% 연소득 65억원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4-02-11 13:02

강원 0.1%와 5.5배 차이…양경숙 "불평등 완화 정책 운영해야"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더파워 최병수 기자] 서울에서 종합소득 상위 0.1%에 해당하는 사람의 연소득은 평균 65억원에 달했다. 또 서울은 종합소득 상위 20%와 하위 20% 간의 소득 격차가 65배로 17개 시도 중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다.

11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2년 서울에서 종합소득 상위 0.1%에 해당하는 사람은 2307명으로 이들의 연소득은 평균 64억8000만원이었다. 이는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많은 금액이다.

종합소득은 이자·사업·연금·근로 등으로 얻은 소득을 말한다. 주로 전문직·자영업자 등 개인 사업자의 소득이 해당한다.

이어 부산이 25억원(592명), 광주가 23억8000만원(252명) 등으로 뒤를 이었다.

종합소득 상위 0.1%의 평균 소득이 가장 낮은 곳은 강원으로 253명이 평균 11억8000만원을 신고했다. 1위 서울과는 5.5배 차이가 났다.

충북(12억4000만원·270명), 경북(12억7000만원·376명) 등도 서울의 약 5분의 1 수준이었다.

전국에서 지역 내 종합소득 격차가 가장 큰 곳도 서울이었다.

서울에서 상위 20%에 해당하는 사람의 연소득은 평균 1억7000만원이었다. 하위 20%의 연소득은 평균 262만원으로 상위 20%와는 64.9배 차이가 났다.

이어 부산이 46.7배로 뒤를 이었다. 부산 상위 20%는 연평균 1억1000만원, 하위 20%는 244만원을 벌었다.

전국 기준으로 상위 20%(1억1000만원)와 하위 20%(262만원)의 격차는 43.1배였다. 종합소득 격차가 근로소득 격차(15.1배)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양경숙 의원은 “정부는 재정과 조세정책을 소득 재분배와 불평등 완화를 위한 방향으로 운영해야 한다”며 “소득과 부의 양극화가 심각한 상황에서도 윤석열 정부는 금융투자소득세 폐지, 대주주 주식양도세 기준 완화 등 부자 감세에만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449.21 ▲35.81
코스닥 854.41 ▲8.88
코스피200 473.58 ▲6.59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150,000 ▲1,398,000
비트코인캐시 880,500 ▲22,000
이더리움 6,410,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9,170 ▲180
리플 4,302 ▲21
퀀텀 3,455 ▲2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185,000 ▲1,378,000
이더리움 6,414,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9,180 ▲170
메탈 1,011 ▲3
리스크 515 ▲5
리플 4,303 ▲21
에이다 1,273 ▲11
스팀 189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170,000 ▲1,390,000
비트코인캐시 881,500 ▲23,000
이더리움 6,415,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9,160 ▲190
리플 4,303 ▲20
퀀텀 3,477 ▲47
이오타 27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