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4 (월)

더파워

신한금융, 1분기 순이익 1조3215억원…전년比 4.8%↓

메뉴

경제

신한금융, 1분기 순이익 1조3215억원…전년比 4.8%↓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4-04-26 15:17

신한금융, 1분기 순이익 1조3215억원…전년比 4.8%↓
(더파워뉴스=최병수 기자) 신한금융그룹(회장 진옥동)은 26일 인터넷·모바일 생중계를 통해 2024년 1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신한금융그룹의 2024년 1분기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4.8% 감소한 1조3215억원으로 견조한 영업이익 증가에도 불구 홍콩H지수 ELS 관련 충당부채 적립 등 일회성 비용 요인으로 전년 동기 대비 당기순이익이 소폭 감소했다.

신한금융그룹은 2024년 1분기 실적에 대해 어려운 시장 환경 속에서도 견고한 기초체력과 다각화된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양호한 실적을 시현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은행의 기업대출을 중심으로 한 자산 성장 및 마진 개선에 따른 이자이익의 증가와 함께 카드, 증권, 라이프를 비롯한 주요 그룹사의 신용카드 수수료, 증권수탁 수수료, 보험 손익 등 수수료이익 증가에 기반한 비이자이익 증가로 인해 그룹 영업이익이 개선됐다고 덧붙였다.

또한 그룹 차원의 비용 효율화 노력을 통해 영업이익경비율을 안정적 수준으로 관리하고 선제적 충당금 적립을 통한 손실 흡수력 제고를 위해 노력했다고 평가했다.

한편 국내 금융시장이 포화된 상황에서 새로운 수익을 지속 창출하기 위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영향력도 지속 확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신한금융그룹은 베트남, 일본 등 주요 글로벌 채널에서 호실적을 기록하고 있으며, 1분기 글로벌 부문 손익은 그룹 손익의 16.3%를 차지하는 2150억원을 기록하는 등 해외에서도 균형 있는 성장을 지속했다.

아울러 신한은행은 지난 3일 인도 NBFC (Non-Banking Financial Company) 시장 내 학자금대출 1위 기업인 HDFC Credila Financial Services Ltd. (이하 Credila)에 대한 지분투자(10%, USD 1.8억불 규모)를 위한 계약을 체결했으며, 이와 같이 직접 진출 방식 뿐만 아니라 지분투자 등 다양한 방식의 투자를 통해 효율적인 신시장 개척을 위한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날 신한금융지주회사 이사회는 1분기 주당 배당금 540원과 함께 2·3분기 중 30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취득 및 소각을 결의했다. 이번 자사주 취득 및 소각은 신탁계약 방식을 통해 6개월 동안 자사주를 취득할 예정이며, 취득이 완료된 후 전량 소각할 계획이다.

한편 신한금융지주회사 지분 보유를 통해 경영에 참여해 왔던 BNP파리바와 사모펀드(BPEA EQT, Affinity, IMM)의 지분 매각과 관련해 1분기 중 사모펀드 등 주요 투자자의 지분 매각이 상당 부분 마무리됨에 따라 그 동안 우려됐던 오버행(잠재적 매도 물량)에 따른 수급 불안 요소가 점차 개선될 것으로 보이며, 최근 신한은행과 BPEA EQT의 인도 Credila 공동 투자 사례와 같이 비즈니스 파트너로서 협력 관계는 지속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4년 1분기 이자이익 2조815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4% 증가, 전분기 대비 1.1% 증가했다. 전년 동기 대비 1분기 이자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그룹 분기 NIM이 6bp 상승하고, 금리부자산이 3.6% 증가하며 9.4% 증가했다.

전분기 대비 그룹 NIM이 3bp 상승하고, 금리부자산이 1.8% 증가하며 1.1% 증가했다.

2024년 1분기 비이자이익 1조2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3% 증가, 전분기 대비 107.3% 증가했다.

전년 동기 대비 1분기 비이자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유가증권 관련 이익이 감소했으나 신용카드, 증권거래, IB 등 수수료이익 전 부문이 고르게 성장하고 단기납 종신보험 등 영업활성화로 보험이익이 증가하며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증가했다.

수수료이익 증감 현황은 지난해 1분기 6034억원에서 2024년 1분기 7034억원으로 늘었다.

전분기 대비 비이자이익은 전분기 상생금융 관련 비용과 대체투자자산 평가 손실 영향 소멸로 인한 유가증권 관련 이익이 크게 증가하고, 수수료이익도 증가하며 전분기 대비 107.3% 증가했다.

2024년 1분기 판매관리비 1조372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 전분기 대비 14.2% 감소했다.

전년 동기 대비 1분기 판매관리비는 전반적인 인플레이션 영향에도 불구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했으며, 영업이익경비율(CIR)은 35.9%로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전분기 대비 판매관리비는 4분기 희망퇴직 비용과 계절적 비용(광고선전비, 제세공과금 등) 소멸 영향으로 14.2% 감소했다.

2024년 1분기 대손충당금 전입액 377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0% 감소, 전분기 대비 50.7% 감소했다.

전년 동기 대비 1분기 대손비용은 금리 상승 누적에 따른 은행과 카드 연체율 상승 등으로 경상 충당금이 증가했으나 작년 1분기 대비 추가 충당금이 감소해 전년 동기 대비 18.0% 감소했다. 2024년 1분기 대손비용률은 0.38%로 안정적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전분기 대비 전분기 대비 대손비용은 선제적 충당금이 4분기 대비 감소하며 50.7% 감소했다.

추가(코로나/경기대응) 충당금 적립 현황은 2020~2024년(누적) 1조9423억원이다.

그룹 대손비용률 현황은 명목 대손비용률이 0.27%(2021년) → 0.34%(2022년) → 0.57%(2023년) → 0.38%(1Q24)를 나타냈다.

추가 충당금 제외 시 0.22%(2021년) → 0.20%(2022년) → 0.38%(2023년) → 0.30%(1Q24)다.

2024년 1분기 영업외이익 2777억원이다. 1분기 영업외이익은 신한은행의 홍콩H지수 ELS 관련 충당부채 적립(2740억원) 영향 등으로 2777억원의 손실을 기록했다.

2024년 1분기 그룹 글로벌 손익 215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5.4% 증가, 전분기 대비 55.9% 증가했다.

전년 동기 대비 1분기 그룹 글로벌 부문 손익은 전년 동기 대비 35.4% 증가한 2150억원을 시현했다. 진출 국가별 차별화된 성장 전략을 바탕으로 한 고른 성장을 통해 이익 기반을 지속 확대하고 있다. 그룹 손익에서 글로벌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년 동기 11.4% 대비 4.9%p 개선된 16.3%를 기록했다.

전분기 대비 전분기 대비 그룹 글로벌 부문 손익은 분기 중 전략적인 외형 성장과 ALM 관리를 통한 영업이익의 증가와 충당금 환입 등으로 전분기 대비 55.9% 증가했다.

한편, 신한은행은 지난 3일 인도 NBFC(Non-Banking Financial Company : 비은행 금융회사) 시장 내 학자금대출 1위 기업인 Credila의 지분투자(약 10%, USD 1.8억불)를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인도 기업에 대한 지분투자는 국내 시중은행 중 최초이며, 직접 진출 방식이 아닌 지분투자와 같이 다양한 방식의 투자를 통해 적은 자본으로 효율적인 신시장 개척을 위한 노력을 지속할 예정이다.

2024년 1분기 주당 배당금 540원, 2·3분기 자사주 취득 및 소각 3000억원으로 결정했다.

2024년 3월말 기준 보통주 자본비율(CET1비율) 13.09%다.

금일 개최된 신한금융지주회사 이사회는 보통주 배당금 540원과 2·3분기 중 30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취득 및 소각을 결의했다. 신한금융그룹은 금년에도 적정 자본 비율을 유지하는 가운데 일관되고 지속적인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2024년 3월말 잠정 그룹 BIS자기자본비율은 15.8%, 보통주자본(CET1)비율은 13.09%로 효율적인 RWA 관리를 통해 안정적 수준의 자본비율을 유지하고 있다.

2024년 주주환원 현황은 주당 배당금 540원(1Q), 자사주 취득 및 소각 4500억원 (1Q 1500억원, 2·3Q 3000억원)이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97.38 ▲21.61
코스닥 799.15 ▼1.32
코스피200 431.79 ▲3.72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5,972,000 ▲1,267,000
비트코인캐시 694,500 ▼5,500
이더리움 4,116,000 ▼26,000
이더리움클래식 25,690 ▼330
리플 3,935 ▼57
퀀텀 3,140 ▼6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5,902,000 ▲1,272,000
이더리움 4,112,000 ▼25,000
이더리움클래식 25,700 ▼310
메탈 1,080 ▼18
리스크 602 ▼12
리플 3,937 ▼56
에이다 1,019 ▼17
스팀 200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6,010,000 ▲1,220,000
비트코인캐시 698,000 ▼3,500
이더리움 4,113,000 ▼28,000
이더리움클래식 25,760 ▼290
리플 3,938 ▼54
퀀텀 3,155 ▼40
이오타 307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