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4 (월)

더파워

서울성모병원, '이명' 환자 맞춤형 진단 및 국제표준 치료 플랫폼 개발 나서

메뉴

정치사회

서울성모병원, '이명' 환자 맞춤형 진단 및 국제표준 치료 플랫폼 개발 나서

이경호 기자

기사입력 : 2024-06-27 10:52

서울성모병원이비인후과박시내,한재상교수
서울성모병원이비인후과박시내,한재상교수
(더파워뉴스=이경호 기자)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은 이비인후과 박시내 교수(연구책임자), 한재상 교수(공동연구자)가 진행하는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감각신경성 이명 진단 및 치료 복합 플랫폼의 개발: 동물 모델과 임상 연구를 통한 검증' 과제가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 지원 사업에 최근 선정됐다고 27일 밝혔다.

연구기간은 올해 5월부터 2029년 4월까지 5년이고, 연구비는 총 12억원을 지원받는다.

그 동안 진행한 다양한 기초 및 임상 연구를 근거로 세계 최초로 이명 환자의 완치율을 높이기 위한 감각신경성 이명의 과학적인 진단 및 맞춤형 치료 플랫폼을 개발하고 검증하는 것이 목표다.

이명은 외부 청각 자극이 없는 상태에서 소리를 느끼는 증상을 말한다. 이명 환자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감각신경성 이명은 난청, 스트레스, 동반된 귀 질환 또는 정신과적 질환 등이 원인이 된다. 같은 감각신경성 이명 환자라도 이명이 발생하는 주된 원인이 다를 수 있으나 현재까지는 원인에 맞춘 개인화된 치료를 제공하고 있지 못하여 이명은 난치성 질환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감각신경성 이명 환자의 주된 원인을 파악하고 최적의 맞춤형 치료법을 제시할 수 있는 이명 진단 및 치료 플랫폼을 개발하고 그 유용성이 입증 된다면, 진료 현장에서 환자를 빠르게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된다.

박 교수는 “지금까지 이명 치료는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환자 맞춤형 치료 방법을 제시하는데 한계가 있었지만, 새로운 개념의 이명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원천 기술을 확보하고 디지털 진료 기기 개발 등 고도화된 이명 환자용 진료 플랫폼이 상용화 된다면, 국내를 넘어 해외 환자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이명은 불치병이 아니며, 전문가 상담을 통해 이명에 대해 잘 알고, 이명 재훈련 치료, 청각재활 등을 병행하면 충분히 치료될 수 있으므로, 감각신경성 이명의 과학적 진단 및 치료 플랫폼을 개발하여 이명 환자의 완치율을 높일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83.01 ▲7.24
코스닥 797.24 ▼3.23
코스피200 429.74 ▲1.67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801,000 ▲850,000
비트코인캐시 690,500 ▲3,000
이더리움 4,075,000 ▲34,000
이더리움클래식 25,400 ▲220
리플 3,908 0
퀀텀 3,157 ▲28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900,000 ▲885,000
이더리움 4,078,000 ▲40,000
이더리움클래식 25,410 ▲210
메탈 1,085 ▲8
리스크 602 ▲4
리플 3,910 ▲11
에이다 1,029 ▲4
스팀 200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830,000 ▲850,000
비트코인캐시 689,500 ▲1,500
이더리움 4,078,000 ▲40,000
이더리움클래식 25,420 ▲240
리플 3,912 ▲5
퀀텀 3,127 0
이오타 30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