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8.27 (수)

더파워

결혼정보회사 듀오 "배우자 선택 시 남녀 모두 성격·성향 우선적으로 고려"

메뉴

경제일반

결혼정보회사 듀오 "배우자 선택 시 남녀 모두 성격·성향 우선적으로 고려"

민진 기자

기사입력 : 2024-12-11 15:31

결혼정보회사 듀오 "배우자 선택 시 남녀 모두 성격·성향 우선적으로 고려"
(더파워뉴스=민진 기자) 결혼정보회사 듀오(대표이사 박수경)가 미혼남녀의 결혼 인식을 조사·연구해 ‘2024년 이상적 배우자상(像)’을 발표했다.

듀오는 1996년부터 매년 ‘대한민국 2030 결혼 리서치’를 기획해 발표하고 있는데, 올해는 대상자 연령을 25~39세 이하에서 25~44세 이하로 확대했으며, 인원도 기존 1,000명에서 2,000명으로 대폭 늘렸다.

또한, 우리나라 전체 주민등록인구의 절반 이상(50.7%)이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다는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지역 또한 전국에서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경기·인천)으로 조정해 진행했다.

분석 결과, 이상적인 남편은 ▲신장 178.3cm ▲연소득 9,465만원 ▲자산 4억1,407만원 ▲2.1세 연상 ▲4년제 대졸 ▲일반 사무직 남성이었다. 이상적인 아내는 ▲신장 163.6cm ▲연소득 6,851만원 ▲자산 2억4,777만원 ▲2.6세 연하 ▲4년제 대졸 ▲일반 사무직 여성으로 나타났다.

이상적 배우자의 연령은 ‘전혀 상관없다’(남 41.7%, 여 35.7%)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이어 남성은 ‘3~4세 연하’(17.2%), ‘동갑’(14.8%), ‘1~2세 연하’(8.2%), 여성은 ‘3~4세 연상’(22.0%), ‘1~2세 연상’(13.8%), ‘동갑’(13.8%) 순으로 선호했다. 대체적으로 남성은 ‘연하’(34.9%)를, 여성은 ‘연상’(41.3%)을 선호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상적인 배우자 직업은 ‘일반 사무직’(54.3%), ‘전문직’(43.7%), ‘공사/공기업/공무원’(40.3%), ‘금융업’(30.0%), ‘일반 사업가’(19.7%), ‘의료직 일반 분야 종사자’(14.6%), ‘문화/예술/스포츠 분야’(13.8%), ‘프리랜서’(13.4%) 순으로 선호했다.

이상적인 남편의 직업으로는 ‘일반 사무직’(54.7%), ‘전문직’(53.0%), ‘공사/공기업/공무원’(41.3%), ‘금융업’(33.0%), ‘일반 사업가’(24.8%), ‘생산직/기술직(제조업, 건설업 등)’(13.0%), ‘문화/예술/스포츠 분야’(11.9%), ‘의료직 일반 분야 종사자’(11.1%), ‘항공 분야 종사자’(9.6%), 이상적인 아내의 직업은 ‘일반 사무직’(53.9%), ‘공사/공기업/공무원’(39.2%), ‘전문직’(34.3%), ‘금융업’(27.0%), ‘프리랜서’(18.2%), ‘의료직 일반 분야 종사자’(18.1%), ‘문화/예술/스포츠 분야’(15.7%), ‘일반 사업가’(14.6%) 순으로 조사됐다.

원하는 배우자의 연소득은 남성의 경우 ‘중요하지 않다’(42.8%), 여성은 ‘7000만원 이상’(46.4%)이 가장 많았다. 이어 남성은 ‘7000만원 이상’(17.9%), ‘5,000만원 이상~6,000만원 미만’(16.5%)을, 여성은 ‘중요하지 않다’(29.9%), ‘5,000만원 이상~6,000만원 미만’(11.2%)을 바랐다.

배우자 자산규모는 ‘중요하지 않다’(남 51.1%, 여 41.8%)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이를 제외하면 남성은 ‘1억원 이상~1억5,000만원 미만’(18.1%), 여성은 ‘1억5,000만원 이상~3억원 미만’(14.0%)을 선호했다.

배우자 선택 시 남녀 모두 ‘성격/성향’(남 74.1%, 여 80.7%)을 우선적으로 고려했다. 이어 남성은 ‘외모’(53.0%), ‘가치관’(52.2%), ‘취미/관심사’(33.4%), ‘건강’(20.6%), ‘가정 환경’(17.2%)을, 여성은 ‘가치관’(55.1%), ‘외모’(36.5%), ‘취미/관심사’(26.4%), ‘가정 환경’(24.9%), ‘직업’(21.9%)을 중요시했다.

남성의 경우 ‘외모’, 여성의 경우 ‘직업’과 ‘소득자산’에 대한 고려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남녀 모두 결혼 적령기에 대해 ‘적합한 나이는 따로 없다’(남 50.8%, 여 61.3%)고 답했으며, 이를 제외한 결혼 적령기 평균 나이는 남 ‘32.4세’, 여 ‘32.3세’로 집계됐다.

결혼정보업체 듀오 관계자는 “올해엔 결과의 정확도 제고로 표본수를 2배 확대하고, 조사 지역을 조정해 진행했으며 시대적 변화를 고려해 연령 상향 조정과 문항 역시 수정·보완하는 등의 변화를 주었다”며 “아직 보완해야 할 점들이 있지만 향후에도 점진적으로 개선하여, 결혼에 대한 보다 실질적이고 다양한 수치를 반영할 수 있도록 발전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한, 관계자는 “설문 결과 값은 미혼남녀가 꿈꾸는 이상형일 뿐, 개인의 가치관과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므로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는 (주)마크로밀엠브레인에 의뢰해 수도권(서울·인천·경기)의 25세 이상 44세 이하 미혼남녀 2,000명(남녀 각 1,000명)을 대상으로 10월 31일부터 11월 13일까지 진행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19%p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81.93 ▲2.57
코스닥 801.08 ▼0.58
코스피200 429.44 ▲0.30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629,000 ▼683,000
비트코인캐시 767,000 ▲500
이더리움 6,381,000 ▼36,000
이더리움클래식 30,160 ▼40
리플 4,200 ▲5
퀀텀 4,030 ▼209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679,000 ▼706,000
이더리움 6,378,000 ▼36,000
이더리움클래식 30,180 ▼20
메탈 1,005 ▼4
리스크 534 ▼1
리플 4,199 ▲2
에이다 1,205 ▼3
스팀 185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660,000 ▼670,000
비트코인캐시 767,000 ▲1,500
이더리움 6,380,000 ▼30,000
이더리움클래식 30,120 ▼90
리플 4,198 ▲2
퀀텀 4,060 ▼175
이오타 27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