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8.21 (목)

더파워

20대는 충전카드, 60대는 패키지…연령별 해외여행 트렌드 변화

메뉴

문화

20대는 충전카드, 60대는 패키지…연령별 해외여행 트렌드 변화

이설아 기자

기사입력 : 2025-03-10 14:30

사진=챗GPT생성이미지
사진=챗GPT생성이미지
해외여행의 모습이 변화하고 있다. 여행 경험을 공유하는 방식부터 결제수단까지 새로운 흐름이 자리 잡았다.

최근 오픈서베이가 20~60대를 대상으로 해외여행 행태를 조사한 '해외여행 트렌드 리포트 2025'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의 70% 이상이 여행 후 인스타그램, 카카오스토리 등 SNS에 경험과 사진을 기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오픈서베이해외여행트렌드리포트2025보고서
출처=오픈서베이해외여행트렌드리포트2025보고서
특히 20~30대 여성과 30대 남성은 인스타그램을, 30대 여성은 블로그를, 60대 남녀는 카카오스토리를 선호하는 등 연령과 성별에 따라 이용 채널도 달랐다. 이들은 개인적인 추억 회상과 함께 여행 동행자와 추억을 공유하기 위해 SNS를 이용한다고 답했다.

결제 방식도 달라졌다. 과거 은행에서 환전을 하던 방식에서 트래블월렛, 트래블로그와 같은 충전형 선불카드 사용으로 전환되고 있다. 실제로 2023년 대비 2024년 충전·선불카드 이용률이 전 연령에 걸쳐 증가했고, 특히 20~40대의 절반은 해외여행 시 이 카드를 이용한다고 응답했다. 반면 일반 신용카드 사용 비율은 50대에서 가장 높고, 20대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출처=오픈서베이해외여행트렌드리포트2025보고서
출처=오픈서베이해외여행트렌드리포트2025보고서
해외여행 스타일에도 차이가 뚜렷했다. 휴식 위주의 여행을 선호하거나, 가까운 국가를 짧게 여러 번 방문하는 등 다양한 방식이 공존했다. 특히 60대는 여러 도시를 짧게 이동하며 관광 중심의 여행을 선호했고, 63% 이상이 패키지 여행을 선택했다. 이 연령대는 해외 체류 기간도 평균 6.7일로 가장 길었다.

여행 테마 선택에서도 세대별 차이가 나타났다. 20~30대는 미식, 맛집 탐방을 주제로 한 여행을 선호했고, 50~60대는 역사 유적지, 자연 경관, 온천 여행 등 지역 특색을 살린 테마를 많이 언급했다.

최근 10명 중 3명 이상은 2024년 하반기 이후 해외여행을 경험했고, 절반 이상이 2025년 여행 계획을 밝혔다. 일본, 동남아시아, 대만이 인기 목적지로 꼽혔으며, 특히 20대는 일본(63.3%), 40대는 동남아시아(56.3%)를 선호했다. 60대의 경우 중국과 남유럽 여행 비율이 높았다.

한편, 여행 취소 경험자는 16.2%로, 일정 변경과 비용 문제를 주요 이유로 꼽았다. 항공 사고나 자연재해 등의 외부 요인으로 인한 취소 사례는 많지 않았다.

출처=오픈서베이해외여행트렌드리포트2025보고서
출처=오픈서베이해외여행트렌드리포트2025보고서
숙소 탐색 채널은 연령별로 달랐다. 전체 평균 숙박비는 1박당 20.71만원으로, 20대(16.54만원)가 가장 낮고, 40대(23.8만원)가 가장 높았다. 숙소 예약 시 20~40대는 해외 플랫폼을, 50~60대는 국내 여행사를 주로 이용했다. 네이버와 아고다는 전 연령대에서 공통적으로 인기를 얻었고, 20대는 트립닷컴, 여기어때, 구글 활용 비율이 높았다.

액티비티 탐색에는 네이버와 유튜브가 전 연령에서 공통적으로 많이 사용됐다. 특히 60대는 하나투어, 모두투어 등 국내 여행사를 이용한 패키지 중심의 여행을 선호했다. 반면 20~30대는 인스타그램과 클룩(KLOOK)을 자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41.74 ▲11.65
코스닥 777.24 ▼0.37
코스피200 424.41 ▲0.7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900,000 ▲268,000
비트코인캐시 779,500 ▲1,000
이더리움 6,007,000 ▲18,000
이더리움클래식 29,940 ▲80
리플 4,061 ▲7
퀀텀 3,212 ▼3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937,000 ▲265,000
이더리움 6,004,000 ▲17,000
이더리움클래식 29,950 ▲80
메탈 1,020 ▼1
리스크 538 0
리플 4,063 ▲10
에이다 1,220 ▲4
스팀 185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890,000 ▲280,000
비트코인캐시 780,500 ▲1,500
이더리움 6,010,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9,960 ▲70
리플 4,062 ▲8
퀀텀 3,235 ▼20
이오타 27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