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차기 정권에 대해 '야권에 의한 정권 교체'를 선호한다는 응답이 '여당의 정권 연장'을 압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의힘에 비해 지지율 격차를 2주 연속 오차범위 밖에서 유지하며 우위를 보였다.
7일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4월 2일부터 4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5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차기 정권 성격에 대해 ‘야권에 의한 정권 교체’를 선호한다는 응답은 56.9%로 집계됐다.
‘정권 연장’을 선호한다는 응답은 37.0%였으며,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6.1%였다. 두 의견 간 격차는 19.9%포인트로, 6주 연속 오차범위(±2.5%p) 밖에서 정권 교체 여론이 우위를 보이고 있다.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44.8%를 기록해 국민의힘(35.7%)을 9.1%포인트 차이로 앞섰다. 민주당은 전주 대비 2.5%포인트, 국민의힘은 0.4%포인트 하락했다. 양당 모두 지지율이 하락했지만, 격차는 여전히 오차범위 밖이다.
양당 외 정당 지지도는 조국혁신당 5.2%, 개혁신당 3.3%, 진보당 1.2%, 기타 정당 1.7%였다. 지지하는 정당이 없다고 응답한 무당층은 8.2%로 조사됐다.
이념 성향별로는 진보층의 92.5%가 정권 교체를 지지했으며, 보수층의 74.6%는 정권 연장을 선호한다고 응답했다. 중도층에서는 정권 교체 응답이 65.7%로, 정권 연장 응답(29.6%)보다 두 배 이상 많았다.
지역별로는 전통적 보수 강세 지역인 대구·경북(TK)에서도 정권 교체론이 50.3%, 정권 연장론이 44.9%로 나타나 정권 교체 여론이 우세했다.
윤 전 대통령 탄핵 선고에 대한 수용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76.9%가 ‘수용하겠다’고 답했고, ‘수용하지 않겠다’는 응답은 17.4%에 그쳤다. 다만, 선고 전후를 비교하면 수용 의견은 79.7%에서 71.2%로 8.5%포인트 감소했고, 비수용 응답은 12.9%에서 26.5%로 증가했다.
탄핵 이후 가장 중요한 과제로는 ‘사회적 갈등 해소와 국민 통합 노력’(25.8%)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대통령제 개편 및 국회 권한 조정 등 정치제도 개혁’(24.6%), ‘여야 간 협치 강화’(22.0%), ‘탄핵 사태에 대한 책임 인정과 사과’(17.6%)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무선(100%) 자동응답(ARS)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6.6%,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5%포인트다. 보다 자세한 조사 개요와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