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산업 생산이 반도체를 중심으로 두 달 연속 증가세를 이어간 가운데, 내수 부진은 계속됐다. 소비와 투자는 다시 감소세로 돌아서며 경기 회복의 제약 요인으로 작용했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25년 3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산업생산지수(계절조정)는 114.7(2020년=100)로 전월보다 0.9% 증가했다. 1월(-1.6%) 감소 이후 2월(1.0%) 반등한 데 이어 두 달 연속 플러스를 기록했다.
생산 확대는 주로 반도체를 포함한 광공업 부문에서 이뤄졌다. 제조업 생산이 3.2% 늘면서 광공업 전체 생산은 전월 대비 2.9% 증가했다. 이 중 반도체 생산은 13.3% 급증해 2023년 8월(13.6%) 이후 19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의약품(11.8%), 전자부품(7.8%) 등도 견조한 흐름을 보였다. 반면 기계장비(-3.1%)와 석유정제(-9.3%) 등 일부 업종은 부진했다.
다만 서비스업 생산은 전월 대비 0.3% 감소하며 내수 회복에 제동이 걸렸다. 도소매업(-3.5%)과 금융·보험(-2.1%) 부문이 생산 감소를 주도했다.
자료=통계청
소비도 마이너스로 전환됐다. 소매판매액지수는 103.1로 전월보다 0.3% 감소했다. 음식료품, 의류 등 비내구재와 준내구재는 판매가 증가했지만, 통신기기와 컴퓨터 등 내구재 판매는 8.6% 급감했다. 이는 고가 소비재를 중심으로 소비 심리가 위축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설비투자도 전월 대비 0.9% 줄어 한 달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자동차 등 운송장비 투자(3.4%)는 늘었지만, 기계류 투자(-2.6%)가 줄며 전체 투자 감소로 이어졌다. 건설기성도 토목(-6.0%)과 건축(-1.5%) 부진으로 2.7% 감소했다.
경기 지표는 회복세를 보였다. 현재 경기 흐름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보다 0.3포인트 상승했고, 향후 경기를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0.2포인트 올랐다.
이두원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반도체 생산이 회복 흐름을 이끌고 있지만, 소비와 투자는 다소 주춤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며 “일시적인 정책 효과인지, 구조적인 회복세로 전환될지는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미국 정부의 반도체 관세 강화 조치에 따른 영향은 3월 지표에는 아직 반영되지 않았으며, 향후 추이를 주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