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홀딩스가 국내 기업 최초로 미국 현지에서 리튬직접추출(DLE·Direct Lithium Extraction) 기술 상용화를 위한 실증 사업에 나선다. 글로벌 리튬 자원 확보와 북미 공급망 강화 전략의 일환으로, 향후 리튬 사업 확대를 위한 핵심 거점으로 삼겠다는 구상이다.
포스코홀딩스는 30일 호주 자원개발 기업 앤슨리소시즈(Anson Resources)와 DLE 기술 실증을 위한 데모플랜트 구축과 운영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데모플랜트는 앤슨리소시즈가 리튬 염수 광권을 보유한 미국 유타주 그린리버시티 부지에 들어설 예정이다.
포스코홀딩스는 이번 실증을 통해 2016년부터 독자 개발해온 DLE 기술의 상용화 가능성을 검증하고, 북미 미개발 염호 자원에 대한 투자 및 사업화에 활용할 방침이다. 특히 자연증발법에 비해 환경 영향이 적고 공간 효율성이 높은 DLE 기술은 일조량에 제한 없이 리튬 생산이 가능해 북미와 같은 지역에 적합한 차세대 추출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앤슨리소시즈는 리튬 원료와 부지를 제공하고, 포스코홀딩스는 기술 실증과 사업성 검증에 착수한다. 양사는 향후 실증 결과에 따라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 등 추가 협력도 검토할 예정이다.
포스코홀딩스 관계자는 “북미는 리튬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염수 리튬 자원의 개발과 상용화가 제한적인 지역”이라며 “이번 데모플랜트는 북미 공급망 확보와 동시에 그룹의 이차전지소재 사업 핵심 기술을 세계 시장에 선보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포스코홀딩스는 이미 아르헨티나 염수 리튬 공장(연산 2만5000톤)과 전남 율촌산단 광석 리튬 공장(연산 4만3000톤)을 준공해 연간 6만8000톤의 수산화리튬 생산능력을 갖춘 상태다. 이는 전기차 약 160만대를 생산할 수 있는 규모로, 포스코그룹의 리튬 사업 경쟁력을 입증하는 기반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