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민진 기자] 겉으로는 촉촉해 보이지만 피부 속까지 건강한지는 또 다른 문제다. 실제로 국내 여성 대부분이 ‘속건조’를 겪고 있으며, 이는 피부 속 수분 부족으로 발생하는 현상이다. 최근에는 속건조 개선을 위해 피부 깊숙이 수분을 공급하는 보습 제품을 찾는 소비자가 늘고 있는 추세다.
속건조, 그냥 두면 재앙이 된다?
속건조는 단순한 건조함에 그치지 않는다. 방치할 경우 작은 자극에도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고 화장이 잘 받지 않는 등 일상 속 불편을 초래한다. 더 나아가 피부 전반의 건강을 해치고 노화를 가속화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강한 햇볕이나 냉방기 사용은 피부 속 수분을 빠르게 빼앗아 증상을 악화시킨다.
속건조의 원인은 무엇일까?
속건조를 유발하는 요인은 다양하다. 급격한 기후 변화, 충분하지 않은 수분 섭취, 잘못된 세안 습관, 자외선 노출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피부 장벽이 약화된 경우에는 작은 외부 자극에도 쉽게 트러블이 발생할 수 있다.
속건조, 생활습관부터 바꿔보자
속건조 예방을 위해서는 피부 속까지 수분을 채우는 생활습관이 필수다. 충분한 수분 섭취, 자외선 차단,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는 세안법, 그리고 꾸준한 보습 관리가 중요하다. 단순히 피부 겉만 촉촉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피부 속부터 건강하게 만드는 접근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히알루론산, 글리세린, 판테놀, 스쿠알란, 우레아 등을 함유한 보습 제품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히알루론산은 피부 깊은 층까지 수분을 전달하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피부 장벽 강화 성분이 포함된 제품의 활용도 늘고 있는데, 이는 피부가 수분을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
피부 속 수분을 유지하는 환경을 만들자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피부 속 수분을 빼앗기지 않는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다. 실내외 온도차가 크면 피부 속 혈관이 과도하게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며 수분 증발을 촉진한다. 이런 상황에서는 보습제의 효과도 제한적이다.
속건조를 개선하려면 성인은 하루 2리터 정도의 수분을 섭취하고, 피부에 직접 차갑거나 뜨거운 바람이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또한 가습기를 설치해 실내 습도를 50~60% 수준으로 유지하고, 샤워 시 40도 이상의 온수 사용을 피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민진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