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옥동 신한금융그룹 회장(왼쪽)과 이토 유타카 일본 금융청장이 지난 8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한·일 금융협력 세미나'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더파워 최병수 기자] 진옥동 신한금융그룹 회장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채권시장이 금융산업 전반에 혁신적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며, 한·일 양국의 공조 필요성을 강조했다.
신한금융은 9일 진 회장이 지난 8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한·일 금융협력 세미나’에 참석해 “디지털 채권은 금융시장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산업 전반을 혁신할 수 있다”며 “신한금융이 양국 협력의 가교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아 연세대 환경금융대학원이 주최하고 신한금융이 후원했으며, 일본 금융청, 아시아자본시장협회, 아시아개발은행 등 국내외 금융기관과 연구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세미나는 4일과 8일 이틀간 열렸으며, 첫날은 ‘전환금융과 배출권거래제의 역할’을 주제로 저탄소 전환 추진 전략과 금융권 역할이 논의됐다. 신한금융은 지난 5월 국내 금융사 최초로 제정한 ‘그룹 전환금융 가이드라인’을 공유하며 지속가능 금융 추진 현황을 소개했다.
8일 세미나는 ‘디지털 채권시장의 구축’을 주제로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 진 회장은 “디지털 채권시장의 정착은 국경을 초월한 금융 협력의 새로운 기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토 유타카 일본 금융청장은 “이번 세미나는 디지털 기반 국경 간 자금조달 환경을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라며 “한국과 협력해 가상자산 제도와 디지털 채권시장 정비 경험을 공유하고, 이를 건전한 혁신으로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양국 금융기관 간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디지털·지속가능 금융 협력을 구체화하는 계기가 됐다는 평가다.
최병수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