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9.25 (목)

더파워

한국인 노동소득 45세 정점…61세부터 소비가 소득 앞질러

메뉴

경제

한국인 노동소득 45세 정점…61세부터 소비가 소득 앞질러

이경호 기자

기사입력 : 2025-09-25 13:43

@연합뉴스
@연합뉴스
[더파워 이경호 기자] 한국인은 평균 28세에 ‘흑자 인생’에 진입해 45세에 노동소득이 정점을 찍은 뒤, 61세부터는 다시 적자 상태로 전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애주기 적자는 사상 처음으로 200조원을 넘어섰다.

통계청은 25일 ‘2023년 국민이전계정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인의 총 노동소득은 1232조8000억원으로 전년보다 5.5% 증가했지만, 소비는 1459조2000억원으로 7.0% 늘어나면서 소비 증가 속도가 더 빨랐다. 이로 인해 생애주기 적자는 226조4000억원으로 집계돼 전년 대비 15.9%(31조원) 증가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0∼27세까지는 소비가 소득을 초과하는 적자가 이어진다. 특히 16세의 적자 규모가 4418만원으로 가장 컸다. 교육비 지출이 집중되는 시기라는 점이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이후 28세부터 소득이 소비를 넘어 흑자로 전환하고, 45세에 4433만원으로 가장 높은 노동소득을 기록했다. 흑자 규모도 이때 1748만원으로 최대치를 나타냈다. 그러나 61세부터는 노동소득이 감소하고 보건·생활 소비가 늘면서 다시 적자로 돌아섰다.

한국인 노동소득 45세 정점…61세부터 소비가 소득 앞질러


세대별로는 유년층(0∼14세)과 노년층(65세 이상)에서 각각 184조4000억원, 179조2000억원의 적자가 발생했으며, 노동연령층(15∼64세)은 137조2000억원의 흑자를 기록했다. 노년층 소비는 243조8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2% 증가했지만 노동소득은 64조6000억원에 그쳤다.

2010년 이후 흑자 진입 연령은 27∼28세 수준으로 변함이 없었으나, 적자 재진입 시점은 2010년 56세에서 지난해 61세로 늦춰졌다. 은퇴 후에도 소득 활동을 이어가는 고령층이 늘어난 영향이라는 게 통계청의 설명이다.

생애주기 적자는 공공 이전과 민간 이전, 자산 재배분 등을 통해 충당된다. 노동연령층에서 순유출된 320조7000억원 중 184조5000억원은 유년층에, 131조1000억원은 노년층에 이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노동연령층의 자원 이전과 고령층의 자산 재배분이 유년층과 노년층의 소비를 뒷받침하고 있다”며 “인구 고령화가 가속하는 만큼 세대 간 이전 구조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경호 더파워 기자 lkh@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471.11 ▼1.03
코스닥 852.48 ▼8.46
코스피200 480.63 ▲0.24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060,000 ▲120,000
비트코인캐시 785,500 ▲500
이더리움 5,765,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6,280 ▲20
리플 4,069 ▼7
퀀텀 3,042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985,000 ▲27,000
이더리움 5,762,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6,280 ▲60
메탈 918 ▼1
리스크 443 ▼3
리플 4,071 ▼10
에이다 1,131 ▼4
스팀 170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030,000 ▲100,000
비트코인캐시 784,000 ▲1,000
이더리움 5,765,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6,170 ▼70
리플 4,069 ▼6
퀀텀 3,020 ▼11
이오타 23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