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11.19 (수)

더파워

한화시스템, 군 정찰위성 ‘425 위성 5호기’ SAR 탑재체 공급 완료

메뉴

산업

한화시스템, 군 정찰위성 ‘425 위성 5호기’ SAR 탑재체 공급 완료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5-11-03 10:00

미국 현지시간 2일(한국 시간 2일)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너베럴 우주군기지에서 대한민국 정찰위성 5호기가 실린 스페이스X사의 팰컨-9 발사체가 발사되고 있다(스페이스X 제공)
미국 현지시간 2일(한국 시간 2일)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너베럴 우주군기지에서 대한민국 정찰위성 5호기가 실린 스페이스X사의 팰컨-9 발사체가 발사되고 있다(스페이스X 제공)
[더파워 유연수 기자] 한화시스템은 3일 국방과학연구소가 개발을 주관한 군 정찰위성 ‘425 위성’의 마지막 5호기에 SAR(합성개구레이다) 탑재체를 안정적으로 공급했다고 밝혔다.

‘425 위성 5호기’는 지난 2일(현지 시각)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너베럴 우주군 기지에서 스페이스X의 팰컨-9 발사체에 실려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이번 발사로 대한민국은 주·야간과 악천후에도 한반도 및 주변 지역을 상시 감시할 수 있는 독자 감시정찰 위성망을 완성하며, 독자적인 군 정찰위성 운용국으로 도약하게 됐다.

‘425 사업’은 EO·IR(전자광학·적외선) 위성 1기와 SAR 위성 4기 등 총 5기로 구성된 국내 첫 군 정찰위성 개발 사업이다. 방위사업청이 사업을 주도하고 국방과학연구소가 개발을 총괄했으며, 한화시스템은 2018년부터 위성의 핵심 장비인 SAR 센서와 데이터링크를 제작해 전 위성에 공급했다.

특히 이번에 발사된 5호기는 SAR 탑재체 조립·통합·시험을 비롯해 SAR 센서 전자부와 데이터링크 등 주요 부품의 국산화에 성공하며 전체 위성의 국산화율을 크게 높였다. 한화시스템은 향후 반사판 안테나와 급전 배열 조립체 등 고난도 부품의 국내 개발을 통해 완전한 기술 자립을 추진하고 있다.

한화시스템이 제작한 SAR 탑재체는 고속·대용량 데이터링크를 기반으로 하루 4~6회 한반도를 관측할 수 있으며, 재방문 주기가 짧아 특정 지역의 반복 촬영이 가능하다. 이 기술은 향후 한국형 킬체인의 핵심 감시정찰 체계로 활용될 전망이다.

송성찬 한화시스템 우주 사업부장은 “대한민국의 독자 감시정찰 능력 확보라는 역사적 여정에 함께하게 돼 자부심을 느낀다”며 “축적된 위성 기술력을 기반으로 국가 안보 역량 강화와 국방 우주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한화시스템은 지난 10월 열린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에서 15cm급 초고해상도 지구 관측이 가능한 초저궤도 ‘VLEO UHR SAR’ 위성 목업(Mock-up)과 AI 기반 위성 데이터 분석 솔루션을 공개하며 차세대 우주 기술 역량을 선보였다.

유연수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928.46 ▼25.16
코스닥 871.97 ▼6.73
코스피200 552.54 ▼3.91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4,730,000 ▼714,000
비트코인캐시 739,000 ▲4,500
이더리움 4,502,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1,210 ▼50
리플 3,185 ▼23
퀀텀 2,509 ▼2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4,800,000 ▼515,000
이더리움 4,503,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1,260 0
메탈 617 ▲1
리스크 330 ▼5
리플 3,182 ▼25
에이다 683 ▼5
스팀 111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4,740,000 ▼620,000
비트코인캐시 737,000 ▲3,500
이더리움 4,502,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1,220 ▼60
리플 3,182 ▼26
퀀텀 2,514 ▼48
이오타 186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