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유연수 기자] SK AX는 11일 북미 지역 글로벌 자동차 부품 공장에서 AX(Autonomous Transformation) 물류 자동화를 성공적으로 구현했다고 밝혔다. 이번 성과는 반도체·에너지·소재 산업에 이어 자동차 산업 분야로까지 제조 AX 혁신을 확대한 사례다.
이번 사업은 완성차 고객사의 주문 다변화와 물류량 증가로 복잡해진 공정 흐름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추진됐다. SK AX는 생산 전(全) 공정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AX 물류 체계를 구축해 공장 운영 안정성과 생산성을 동시에 향상시켰다.
SK AX는 반제품 이송부터 완제품 출하까지 사람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무인운반차(AMR)와 무인지게차(AFR)를 투입했다. SLAM(동시적 위치추정 및 지도작성) 기술이 적용된 로봇은 GPS가 닿지 않는 실내에서도 스스로 위치를 파악하고 최적 경로를 찾아 이동한다. 이동식 선반이나 화물 위치가 바뀌어도 충돌 없이 작업이 가능한 자율 협업 환경이 구현됐다.
또한 AI 기반 물류정보시스템(MCS)과 AMR 제어시스템(ACS)을 도입해 공장 내 물류 흐름을 통합 관리하도록 했다. 시스템은 생산 라인 가동률, 재고 위치, 로봇 주행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효율적인 물류 경로를 자동 배분하며, 생산량 변동 시 즉시 물류 투입량을 조절해 공정 지연을 최소화한다.
자동차 부품 공장에 특화된 전용 아키텍처도 적용됐다. 생산공정·조립·출하 등 실제 라인 구조를 모델링해 구축했으며, 그래픽 기반 사용자 화면(GUI)을 통해 현장 담당자가 설비와 재고, 로봇 상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상위 제조실행시스템(MES)과 하위 제어시스템(ACS)을 양방향으로 연동해 자재 투입부터 출하까지 단일 체계로 관리하도록 했다.
이 같은 자동화 체계는 물류 리드타임 단축, 운송 정확도 향상, 인력 효율화 등으로 이어져 공장 운영 전반의 비용 구조 개선과 공급망 관리 혁신을 가능케 했다. 물류 데이터가 디지털 기반으로 통합되면서 부품 위치, 이동 경로, 출하 시점이 본사와 고객사까지 실시간 공유돼 납기 예측 정확도와 탄소 감축 효과도 함께 기대된다.
김광수 SK AX 제조서비스부문장은 “이번 프로젝트는 SK AX의 물류 자동화 기술력을 글로벌 현장에서 입증한 사례로, 미국 내 제조 공장의 인력난과 비용 부담 해소에 실질적인 대안이 될 것”이라며 “향후 완성차 기업을 비롯한 글로벌 고객사와 협력을 확대해 AX 기반의 제조 혁신을 확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유연수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