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11.17 (월)

더파워

SK, 2028년까지 국내 128조원 투자…용인반도체클러스터 600조원 규모로 확대 전망

메뉴

산업

SK, 2028년까지 국내 128조원 투자…용인반도체클러스터 600조원 규모로 확대 전망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5-11-17 10:10

용인반도체클러스터 조감도
용인반도체클러스터 조감도
[더파워 유연수 기자] 대한민국의 ‘AI 3대 강국’ 비전 실현을 위한 SK그룹의 대규모 국내 투자 전략이 공식화됐다. SK그룹은 16일 2028년까지 국내에 128조원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SK그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미 관세 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 이후 “AI·반도체·에너지·바이오 등 주력 산업 전반에 걸쳐 국내 투자를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16일 회의에서 “2028년까지 128조원 투자를 계획하고 있었으나 용인반도체클러스터의 규모가 크게 확대되고 있다”며 “정확한 추산은 어렵지만 용인 클러스터만 약 600조원 투자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고 17일 밝혔다.

용인반도체클러스터는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고부가 AI 메모리 수요 급증과 초고성능 공정 확대에 따라 당초 계획 대비 투자비가 대폭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SK그룹은 해당 클러스터에 총 4기 팹(Fab)을 구축할 예정이며, 팹 1기 규모만 해도 청주 M15X 공장 6기를 합친 수준이다.

SK그룹은 반도체 수요와 업황을 감안해 팹 건설 속도를 조절하되, 장기적으로는 전체 계획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고용 확대도 병행된다. 최태원 회장은 “반도체 공장을 하나 오픈할 때마다 2000명 이상 추가 인력이 필요하다”며 “2029년까지 매년 1만4000명에서 2만명 수준의 고용 효과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도체 생태계 강화 전략도 추진된다. SK하이닉스는 8600억원 규모의 ‘트리니티 팹(Trinity Fab)’을 정부와 함께 구축 중이다. 이는 용인반도체클러스터에 조성되는 첨단 반도체 개발용 미니 팹으로, 소부장 기업·연구기관·학계·스타트업 등이 자유롭게 활용 가능한 개방형 실증 플랫폼이다.

AI 인프라 투자도 지역으로 확장된다.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는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협력해 울산에 100MW급 하이퍼스케일 AI 데이터센터 ‘SK AI 데이터센터 울산’을 건설 중이다. 2027년 가동 시 동북아 AI 허브의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SK그룹은 오픈AI와 함께 서남권 AI 데이터센터 건립도 검토하고 있다.

SK그룹은 “AI·반도체 중심의 첨단 산업 경쟁력을 강화해 국내 산업 생태계와 지역 균형 성장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유연수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4,060.13 ▲48.56
코스닥 900.47 ▲2.57
코스피200 571.94 ▲8.51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2,320,000 ▲520,000
비트코인캐시 730,000 ▲500
이더리움 4,733,000 ▲41,000
이더리움클래식 22,260 ▲80
리플 3,362 ▲23
퀀텀 2,586 ▲9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2,339,000 ▲615,000
이더리움 4,731,000 ▲39,000
이더리움클래식 22,210 ▲30
메탈 655 ▲1
리스크 370 ▼5
리플 3,360 ▲21
에이다 735 ▲3
스팀 117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2,290,000 ▲520,000
비트코인캐시 730,500 ▲1,000
이더리움 4,733,000 ▲39,000
이더리움클래식 22,230 ▲70
리플 3,360 ▲20
퀀텀 2,591 ▼11
이오타 19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