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11.27 (목)

더파워

KT 차기 대표 선임 두고 여야·시민단체 “파벌·깜깜이 인사 끝내야” 압박

메뉴

산업

KT 차기 대표 선임 두고 여야·시민단체 “파벌·깜깜이 인사 끝내야” 압박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5-11-27 10:41

@연합뉴스
@연합뉴스
[더파워 유연수 기자] KT 차기 대표이사 후보군 압축을 앞두고 정치권과 시민사회가 이사회에 ‘파벌 인사 중단’과 ‘책임 규명 없는 깜깜이 선출 중단’을 동시에 요구하고 나섰다.

더불어민주당 과방위 소속 의원들과 KT 관련 노동·시민단체는 KT 경영 실패와 인사 시스템 문제를 조목조목 지적하며 이사회가 환골탈태 수준의 인선에 나서야 한다고 27일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김우영·황정아·이주희 의원은 성명을 통해 “KT 차기 대표이사 선출은 ‘국가 기간통신사업자’ KT가 환골탈태하느냐, 파벌 경영의 늪에서 도태되느냐를 가를 절체절명의 골든타임”이라고 규정했다.

이들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드러난 불법 펨토셀 방치, 해킹·개인정보 유출 위기 대응 부실, 피해 고객에 대한 요금·연체금 청구 등을 언급하며 “KT 경영진의 총체적 무능과 도덕적 해이가 만천하에 드러났다”고 비판했다.

특히 악성코드에 감염된 서버를 ‘티타임 구두보고’ 수준으로 처리하고, 오염 서버 43대를 몰래 폐기하려 한 조직적 은폐 시도는 “충격적”이라고 지적했다. 세 의원은 이 같은 사태의 근본 원인으로 “수십 년간 누적된 특정 학연·지연 중심의 파벌 경영”을 꼽고, 이사후보추천위원회가 “과거 악습을 되풀이해서는 안 된다”고 못 박았다.

이들은 이번 대표 선출을 “KT 환골탈태의 마지막 기회”로 규정하며, ▲통신 본업은 물론 AI 기술과 정부 정책을 아우르는 ‘통신·AI·경영·정책’ 4박자를 갖춘 인물 선출 ▲출신·배경 대신 실력 중심 인사 원칙 확립을 요구했다. 또다시 “실력 없는 비전문가나 파벌 이익의 대리인을 앉힌다면 국민적 저항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KT 안팎의 시민·노동단체도 별도 기자회견문을 통해 이사회 책임론을 정면으로 제기했다.

국회의원 이훈기와 공공운수노조 방송통신협의회, KT 새노조, ‘KT 정상화를 위한 공동행동’, 민생경제연구소, 서민중산층경제연대, 서울의소리 등은 공동 입장을 내고 “지금 KT에 필요한 것은 ‘누가 차기 사장이 되느냐’가 아니라, 김영섭 체제에서 벌어진 사상 초유의 해킹·은폐 사태, AICT 명분 구조조정과 그에 따른 노동자 사망, MS와의 불공정 계약 의혹 등 심각한 경영 실패에 대한 성찰과 책임 규명”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연매출 26조원, 재계 12위인 KT를 “국민채권으로 만들어진 국민기업”이라고 규정하면서도, 구조조정 약속 번복 이후 잇따른 노동자 자살·돌연사, 네트워크 관리 부실에 따른 소액결제 해킹, 과기정통부 고발까지 이어진 은폐·증거인멸 의혹 등을 거론하며 “KT의 신뢰는 바닥으로 떨어졌고 존립 기반은 회복 불가능 상태로 치닫고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3년 전 사장 선임 과정에서 이사회가 두 차례 후보를 확정하고도 “용산에서 격노했다”는 말에 후보와 사외이사가 줄사퇴해 초유의 경영 공백을 초래한 사례를 상기시키며 “그 결과 등장한 김영섭 체제를 만든 것도 현 이사회”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견제와 감시 역할을 해야 할 이사회가 담합적 카르텔을 만들고 불법·탈법을 묵인했다”며 “이번 대표 선임에 대해 이사회 역시 무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동 기자회견문은 KT 차기 대표 선임 절차를 둘러싼 ‘정치권 줄대기’와 ‘깜깜이 인사’ 논란도 정면 비판했다. 이들은 “KT 수장을 뽑는 과정에서 후보 33명이 출사표를 던졌다는 것 외에 아무런 정보도 공개되지 않고 있다”며 “자격·규칙이 분명한 초등학교 운동회에도 못 미치는 불투명한 선임 절차가 내부 불신과 각종 의혹의 근원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내년 임기 종료 예정 이사들의 연임 문제와 관련해 “스스로를 보호해 줄 후보를 고르려 한다, MS 계약 의혹에 대한 책임을 면하게 해줄 후보를 낙점하려 한다는 의혹이 내부에서 제기된다”며, 대표 선임 과정이 “또 다른 담합적 이권 카르텔의 도구로 쓰여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이사회가 후보 압축 명단과 추천 주체, 평가 기준, 향후 절차를 투명하게 공개해 의혹을 해소해야 한다는 요구도 담겼다.

단체들은 “KT 내부를 가장 잘 아는 것은 KT 노동자들”이라며 “그동안 부패 세력과 정치 낙하산에 맞서 통신 공공성과 기업 투명성을 지켜온 내부 구성원의 목소리를 신임 대표가 얼마나 진정성 있게 듣느냐가 통합과 혁신의 출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대표 선임은 “단순히 3년간 회사를 이끌 CEO를 고르는 문제가 아니라, AX·인공지능 전환 시대에 국민기업 KT가 제 역할을 할 수 있느냐를 가르는 중대한 선택”이라며, 이사회가 투명하고 원칙적인 절차를 통해 CEO 리스크를 끊어내야 한다고 덧붙였다.

유연수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4,000.28 ▲39.41
코스닥 881.54 ▲4.22
코스피200 565.39 ▲6.02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129,000 ▲844,000
비트코인캐시 815,000 ▲4,000
이더리움 4,557,000 ▲28,000
이더리움클래식 21,130 ▲70
리플 3,323 ▲10
퀀텀 2,389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398,000 ▲898,000
이더리움 4,556,000 ▲24,000
이더리움클래식 21,140 ▲80
메탈 628 ▲1
리스크 265 0
리플 3,321 ▲7
에이다 652 ▲2
스팀 115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080,000 ▲740,000
비트코인캐시 814,500 ▲2,500
이더리움 4,558,000 ▲29,000
이더리움클래식 21,130 ▲70
리플 3,320 ▲5
퀀텀 2,398 0
이오타 178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