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이설아 기자] 편의점 이마트24가 Z세대와 30대 젊은 소비자를 겨냥한 트렌드·체험형 플래그십스토어를 성수동에 선보인다. 이마트24는 서울 성수동에 브랜드의 미래 방향성을 집약한 플래그십스토어 ‘트렌드랩 성수점’을 오는 28일 공개한다고 27일 밝혔다.
트렌드랩 성수점은 약 100㎡(30평) 규모로 성수역 4번 출구 앞에 위치하며, 24시간 운영된다. 10~20대 젠지(GenZ) 세대와 트렌드에 민감한 30대가 핵심 타깃으로, 이마트24가 지향하는 새로운 브랜드 정체성과 비전을 보여주는 ‘쇼케이스 매장’ 역할을 맡는다. 성수 특유의 문화·라이프스타일과 결합해 기존 편의점과 다른 감성과 경험을 제공하는 ‘힙한 편의점’을 표방한다.
이번 매장은 이마트24 리브랜딩 이후 첫 플래그십스토어로, 단순 편의점 모델을 넘어 브랜드의 미래 비전을 실험하는 ‘트렌드 플랫폼’을 지향한다. 매장 내부는 △브랜드팝업존 △이벤트존 △투고 카페(To-Go Café) 존 △스타상품존 등 4개 핵심 공간으로 구성했다. 인테리어는 노출 콘크리트와 철물 기둥 등 투박하면서도 감각적인 소재를 활용해 성수동 특유의 개성 있는 분위기와 어울리도록 설계했다.
브랜드팝업존에는 1020세대 여성층이 선호하는 뷰티 브랜드 ‘어뮤즈’와 패션 플랫폼 ‘W컨셉’이 입점한다. 어뮤즈의 산리오 캐릭터를 적용한 베베틴트·세라믹쿠션 등 31종과 프론트로우 의류, 겨울 시즌 패션용품을 선보이며, 약 3개월 주기로 젠지 여성층이 선호하는 브랜드를 교체해 소개할 계획이다.
이벤트존은 캐릭터·게임 IP(지식재산권)를 활용한 굿즈와 실험적인 트렌드 상품을 집중적으로 보여주는 공간이다. 10~30대 게임 마니아층이 좋아하는 ‘트릭컬 리바이브’ 단독 굿즈 18종을 선보이며, 이마트24 앱에서는 28일부터 예약구매를 시작해 전국 매장에서 픽업할 수 있도록 했다.
트렌드랩 성수점에서는 해당 굿즈를 직접 살펴보고 현장 구매까지 가능하다. 일본 애니메이션 ‘귀멸의 칼날’, ‘스파이 패밀리’ 등 IP 콜라보 굿즈 40여종도 함께 선보인다. 이마트24는 이 공간을 ‘탕화쿵푸’, ‘응급실떡볶이’ 등 젠지 선호 브랜드와 협업한 간편식, 실험적인 신상품을 일반 매장보다 먼저 테스트하는 기능성 존으로 운영할 방침이다.
스타상품존은 이마트24의 ‘킬러 콘텐츠’를 한데 모은 구역이다. ‘서울대빵’ 시리즈와 조선호텔 손종원 셰프를 비롯해 최현석·여경래·오스틴강 등 스타셰프와 협업한 상품, 매월 출시되는 스타상품을 이곳에서 가장 먼저 만나볼 수 있도록 구성했다.
편의점 속 작은 카페 콘셉트의 ‘투고 카페(To-Go Café) 존’에서는 즉석커피 5종, 과일 리얼 스무디 6종, 커피와 어울리는 베이커리 6종 등 테이크아웃 메뉴를 운영한다. 대부분 3000원 이하 가격대로 책정해 접근성을 높였다. 이마트24는 외국인 방문객 유입이 많은 성수 상권 특성상, 플래그십스토어가 국내외 젊은층을 함께 끌어들이는 거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마트24는 내년까지 총 600종 규모의 트렌디하고 차별화된 상품을 순차적으로 선보일 계획이다. 샌드위치·도시락 등 프레시푸드(FF) 상품, 디저트·베이커리, 즉석커피를 3대 핵심 카테고리로 삼아 본사의 개발 역량을 집중하고, 신세계푸드·신세계L&B·조선호텔 등 신세계그룹 관계사와의 시너지를 통해 상품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젊은 고객 취향을 반영한 상품을 꾸준히 출시해 ‘상품 경쟁력 강화→점포 매출 증대→상품 투자 확대’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키겠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플래그십스토어 오픈과 함께 새 슬로건 ‘올 데이 하이라이트(All day highlight)’도 처음 공개된다. ‘고객의 일상 속 모든 순간을 더욱 빛나게 한다’는 의미를 담은 문구로, 향후 상품과 공간 기획 전반에 적용해 1030세대가 가장 먼저 떠올리는 힙하고 트렌디한 편의점 브랜드로 도약하겠다는 구상이다.
최진일 이마트24 대표는 “트렌드랩 성수점은 이마트24가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압축해 보여주는 상징적인 공간”이라며 “이곳에서 매월 가장 먼저 신상품을 선보이고, 정기적으로 트렌디한 브랜드를 소개함으로써 이마트24가 ‘가장 트렌디하고 힙한 편의점’이자 ‘1030세대를 가장 잘 아는 편의점’이라는 이미지를 확실히 각인시키겠다”고 말했다.
이설아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