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이경호 기자] 지난 2020년 180억원의 리베이트 관여 의혹으로 고발된 대한항공 오너 일가에 대한 검찰 수사가 2년 만에 본격화 될 전망이다.
6일 한국일보 단독 보도에 따르면, 검찰이 대한항공 연루 의혹이 제기된 '에어버스(Airbus) 리베이트' 사건의 실체를 밝힌 프랑스 검찰 등의 수사 자료를 최근 넘겨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중앙지검 형사14부(부장 김지완)는 최근 프랑스 사법당국 등으로부터 항공기 제작사 에어버스 리베이트 사건 수사 자료를 넘겨 받아 대한항공 등 한국 기업과 관련한 내용을 번역하는 등 분석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리베이트 수수 정황은 현지 수사로 드러난 만큼, 검찰은 대한항공 오너 일가 관여 여부와 리베이트를 받은 경위, 자금 용처를 밝히는 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유럽 최대 부패 스캔들' 에어버스 리베이트 사건은 2016년 프랑스 파리고등검찰청 소속 국가금융검찰청(PNF)이 수사하면서 실체가 드러났다. 이듬해 영국 중대범죄수사청(SFO)이 합류했으며, 미국 법무부와 국방부도 공조수사에 나섰다.
수사 과정에서 대한항공 연루 정황도 드러났다. 수사팀은 에어버스가 대한항공 고위 임원에게 항공기 구입 대가로 1,500만 달러(약 180억원)를 건넨 단서를 잡았다. 이는 2020년 1월 프랑스 금융검찰청과 에어버스가 맺은 공익사법협약(CJIP) 문서에서 확인됐다.
문건에 확인된 리베이트는 모두 세 차례로 지난 2010년 항공기 매매 중개상을 통해 처음으로 리베이트가 지급됐다. 자금은 프랑스 소재 에어버스 국제전략마케팅기구(SMO)로 부터 나왔다.
해당 문서에 따르면, 에어버스는 지난 1996년부터 2000년 사이 대한항공과 3건의 매매계약을 체결했다. 대한항공이 에어버스로부터 1996년 A330 기종 4대, 1998년과 2000년에는 A330 기종 3대씩 총 10대를 매입하는 거래였다. 공동수사팀은 에어버스 측이 이 거래의 대가로 대한항공 고위 임원에게 1500만 달러의 리베이트를 약속한 사실을 확인했다. 또한, 2013년 대한항공 임원과 이해관계가 있는 미국의 한 대학에 600만 달러(72억원)를 기부한 것도 에어버스 내부 자료 등을 통해 확인됐다.
한편, 대한항공의 '항공기 리베이트' 의혹은 채 의원이 2020년 3월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제기했다.
이후 한진그룹 경영권을 두고 조원태 회장과 대립하는 조현아 전 부사장과 행동주의 사모펀드 KCGI, 반도건설로 구성된 '3자 연합'은 영문으로 된 프랑스 고등법원 판결문을 공개하며 이에 대한 수사를 촉구했다.
이에 대해 대한항공 측은 "조 회장을 비롯한 현 경영진들은 리베이트 의혹과 관련이 없다"며 민형사상 조치 등 강력히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