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최병수 기자] 다음달 제조업과 비제조업 모두 경기 전망이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경기실사지수(Business Survey Index·BSI)를 조사한 결과 10월 BSI 전망치가 89.6을 기록했다고 26일 밝혔다.
BSI 전망치는 지난 4월부터 5개월 연속 하락하면서 8월 86.9까지 떨어진 뒤 9월 95.8로 반등했으나 한 달 만에 다시 80대로 떨어졌다.
BSI는 100보다 높으면 전달 대비 긍정적, 100보다 낮으면 전달 대비 부정적이라는 뜻이다.
10월 업종별 BSI는 제조업 88.4, 비제조업 91.1로 지난 6월부터 5개월 연속 100 이하의 부진을 보였다.
특히 제조업에서는 반도체와 자동차, 석유제품 등 3대 수출품목이 포함된 전자·통신 95.0, 자동차·기타운송 96.8, 석유정제·화학 70.4로 10월 BSI가 부정적이었다.
전경련은 3대 수출 주력업종이 동시에 부진 전망을 보인 것은 2022년 4월 이후 6개월 만으로, 수출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의 침체의 골이 깊어질 것으로 우려했다.
비제조업 세부산업 중에서는 9월에 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 수가 10만 명 밑으로 떨어지며 감염 부담이 줄어든 영향으로 스포츠, 공연 관람 등이 포함된 여가·숙박 및 외식업(111.1)만 유일하게 호조 전망을 보였고, 연료비 상승으로 인해 전기·가스·수도(82.4)업이 가장 부진할 것으로 전망됐다.]
10월 조사부문별 BSI를 살펴보면, 2021년 1월 이후 1년 9개월 만에 처음으로 모든 부문(채산성 90.5, 자금사정 92.2, 투자 94.1, 내수 95.2, 수출 95.2, 고용 99.4, 재고 105.6)이 동시에 부정적 전망을 나타냈다. 특히 고용(99.4)은 2021년 3월(99.5) 이후 1년 7개월 만에 기준선(100)을 하회했다.
전경련은 국내외 경기침체에 따른 판매 부진으로 제조업 재고 BSI(109.0)가 2020년 7월(112.9) 이후 2년 3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어, 향후 생산·투자·고용의 연쇄적인 위축이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국내기업들은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의 3高 장기화로 인한 생산비용 증가와 국내외 경기침체에 따른 매출 둔화의 복합적 위기 상황을 맞이하고 있다.”라며, “정부가 추진 중인 법인세제 개편, 근로시간 유연화 등 기업활력 제고를 위한 조치들이 신속히 이루어져 기업들의 경영부담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