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유연수 기자] 정부가 전세계적으로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ESG 관련 정책 수립과 집행을 총괄할 컨트롤타워를 내년부터 가동한다.
정부는 27일 발표한 'ESG 인프라 고도화 방안'에서 민관 합동 컨트롤타워인 ESG 협의회를 설치해 내년 초 킥오프(kick-off) 회의를 열기로 했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ESG 정책 추진을 총괄하고 추진 실적을 점검하며 부처 간 협업, 민간과의 소통 등을 조율하게 된다. 협의회는 기재부 1차관이 주재하며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중소벤처기업부, 고용노동부, 행정안전부, 금융위원회, 공정거래위원회 등 관계부처 차관 및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할 예정이다.
정부는 글로벌 기준에 맞춰 자본시장법령 등을 손질하고 국내 ESG 공시제도를 정비키로 했다. 이와 함께 ESG 공시제도와 각 부처 정보공개제도 간 중복되는 항목에 대해서는 하나의 제도를 통해서만 내용을 공개해도 공시를 인정해주는 식으로 기업 부담을 줄이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중소·중견기업의 ESG 경영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교육·컨설팅을 확대하고 공공조달 낙찰자 선정 시 가점 부여, 금융지원 확대 등 인센티브 제공도 추진한다.
민간의 ESG 채권·투자 활성화를 위해 ESG 채권 가이드라인 등을 개선하고 ESG 평가기관 가이던스를 마련해 평가 공정성·투명성을 높이다.
국제증권관리위원회기구(IOSCO) 권고안을 기초로 'ESG 평가기관 가이던스'도 마련할 계획이다. ESG 평가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정보공개, 내부통제 등에 대한 최소한의 자율 준수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다.
ESG 정보 이용자 대상의 ESG 정보 플랫폼을 구축하고 민간 ESG 확산을 지원하기 위해 전문인력을 양성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ESG 경영지원 플랫폼, 투자플랫폼, 환경정보공개시스템 등을 연계해 통합 정보를 제공한다. 또 특성화 대학원·지역 거점대학원에 ESG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장기 학위과정 개설을 검토한다.
공공기관·연기금 등 공공부문의 경우 ESG 위원회 구성과 ESG 공시항목 확대를 추진하고 산업은행 탄소넷제로 프로그램·탄소스프레드 등 정책금융기관의 금융 지원을 확대한다.
기재부는 “글로벌 ESG 규율이 강화될 전망으로 이번 ESG 인프라 고도화 방안을 통해 인프라 구축을 가속하고 민간중심 ESG 생태계 육성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