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이우영 기자] 국내에서 활동하던 파키스탄 테러단체 ‘라슈카르 에 타이바’(LeT) 조직원이 경찰에 붙잡혔다. UN이 지정한 테러단체 조직원을 국내에서 체포·구속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8일 연합뉴스와 경기남부경찰청 안보수사과에 따르면, 경찰은 국민보호와 공공안전을 위한 테러방지법 및 출입국관리법 위반 혐의로 파키스탄 국적의 40대 A씨를 구속해 수원지검에 송치했다.
A씨는 2020년 파키스탄 나로왈에서 라슈카르 에 타이바에 가입해 테러단체 캠프에서 기관총·박격포·RPG(로켓추진유탄) 등 중화기 사용과 침투 훈련을 받은 뒤 정식 조직원으로 활동한 혐의를 받고 있다. 2023년 9월에는 사업 목적으로 방문하는 것처럼 허위 기재한 사증 발급 신청서를 파키스탄 주재 한국 영사관에 제출해 비자를 발급받고, 같은 해 12월 국내로 불법 입국한 것으로 조사됐다.
라슈카르 에 타이바는 1980년대 중반 결성된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단체로, 파키스탄 정보부(ISI)의 지원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령 카슈미르 지역에서 주로 활동하며, 2005년 UN 테러단체 명단에 올랐다. 2008년 인도 뭄바이 연쇄 테러로 166명이 숨졌고, 지난 4월에도 카슈미르 파할감에서 발생한 총기 테러의 배후로 지목됐다.
경찰은 국가정보원으로부터 첩보를 입수해 수사에 착수, 서울 이태원에서 A씨를 검거해 지난 2일 구속했다. 2016년 시행된 테러방지법을 적용해 형사 절차를 밟는 것도 이례적인 사례다.
A씨는 최근까지 체류 기간 연장을 신청했으나, 출입국 당국으로부터 지난 9월 5일 출국 권고를 받은 상태였다. 경찰은 국내 공범 여부와 테러 자금 모집·송금 혐의에 대해 국정원과 공조 수사를 이어갈 방침이다.
경찰 관계자는 “라슈카르 에 타이바는 ‘자살 테러’ 전술을 사용하는 단체로 알려져 있다”며 “오는 10월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테러 위험 요인을 사전에 제거하겠다”고 밝혔다.
지난달 기준 국내 체류 외국인은 273만여 명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경찰은 테러 첩보 활동 강화를 당부하며, 신고는 국번없이 113 또는 경찰청 ‘온라인 113 신고센터’를 이용하면 된다고 안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