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11.24 (월)

더파워

서울 30대 무주택 가구 역대 최대…주택 소유율 25%대까지 추락

메뉴

경제

서울 30대 무주택 가구 역대 최대…주택 소유율 25%대까지 추락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5-11-24 08:53

@연합뉴스
@연합뉴스
[더파워 최병수 기자] 서울의 집값 부담과 대출 규제 강화 속에 30대 무주택 가구가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은 수준으로 늘었다. 국가데이터처는 21일 지난해 서울 30대 무주택 규모와 주택 소유율을 집계한 결과 주거 불안정이 더욱 심화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30대 가구주 기준 무주택 가구는 52만7729가구로 집계됐다. 전년보다 1만7215가구 증가한 수치이며, 2015년 통계 작성 이후 최대 규모다. 서울 30대 무주택 가구는 2015년 47만5606가구에서 2018년 45만6461가구까지 감소했지만 2019년부터 6년 연속 증가세가 이어졌다. 증가 폭은 2021년 3000가구대에서 2022년 1만5000가구대로 커졌고, 2023년과 지난해에는 1만7000가구대를 기록했다.

반면 서울 30대 주택 소유가구는 3년 연속 줄었다. 지난해 주택을 가진 30대 가구는 18만3456가구로 1년 전보다 7893가구 감소해 통계 작성 이후 가장 적었다. 2015년 23만7000가구 수준이던 유주택 가구는 2023년 19만1349가구로 ‘20만 가구선’이 무너졌고, 지난해는 18만명대까지 떨어졌다. 이에 따라 무주택 가구는 유주택 가구 대비 2.9배로 격차가 역대 가장 컸다.

주택 소유율도 크게 낮아졌다. 지난해 서울 30대 가구의 주택 소유율은 25.8%로 집계되며 2015년 33.3%에서 10%포인트 가까이 떨어졌다. 전국 30대 평균 소유율은 36.0%로 서울보다 10%포인트 이상 높았다. 서울 중심의 집값 급등이 청년층의 자가 마련을 어렵게 만든 것으로 해석된다.

취업·혼인 시기 지연과 1인가구 증가도 주택 매입 시기를 늦추는 요인으로 지적된다. 국가데이터처 관계자는 서울의 높은 1인가구 비중이 주택 소유율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올해 시행된 정부의 초강력 부동산 규제,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축소 등이 더해지며 현금 여력이 부족한 30대의 시장 진입이 더욱 어려워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청년층은 내 집 마련 필요성을 여전히 크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주택연구원이 지난해 무주택 청년 1인가구 7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83.2%가 ‘향후 내 집 마련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필요한 정책으로는 ‘주택 구입자금 지원’이 24.3%, ‘전세자금 지원’이 22.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공공임대주택 공급’, ‘공공분양주택 공급’이 뒤를 이었다.

최병수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846.06 ▼7.20
코스닥 856.44 ▼7.51
코스피200 540.81 ▲0.4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0,019,000 ▼314,000
비트코인캐시 824,000 ▼2,000
이더리움 4,242,000 ▼9,000
이더리움클래식 20,360 ▼130
리플 3,138 ▼9
퀀텀 2,295 ▼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0,088,000 ▼144,000
이더리움 4,238,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0,410 ▼70
메탈 597 ▼4
리스크 264 ▼2
리플 3,138 ▼8
에이다 615 ▼4
스팀 109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0,030,000 ▼200,000
비트코인캐시 823,500 ▼2,000
이더리움 4,239,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0,370 ▼160
리플 3,137 ▼10
퀀텀 2,295 0
이오타 171 ▲0
모바일화면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