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과정 상당히 단축돼… 先 접종국가서 발생하는 문제 관찰기회 있어 다행”
[사진제공=연합뉴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더파워=유연수 기자] 정부가 백신 도입 물량과 시기와 관련 ‘실패’라는 비판이 나온 것에 대해 “우리나라가 백신을 세계 최초로 맞아야 할 이유가 없다”며 “백신 안전성은 국민을 위해 절대 놓쳐서는 안 되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은 23일 열린 코로나19 브리핑에서 “최근 우리 사회 분위기가 백신을 세계 최초로 맞아야 하는 것처럼 1등 경쟁을 하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어 방역당국으로서 상당한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손 반장은 “백신은 안전성을 확인하는 것 자체가 국민에게 굉장히 중요하고 특히 코로나19 백신은 개발과정이 상당히 단축돼 안전성은 국민을 위해 놓칠 수 없는 중요한 주제”라고 말했다.
이어 “이런 사정 때문에 백신을 세계 최초로 맞는 상황은 가급적 피해야 한다”며 “먼저 접종하는 국가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한두 달 관찰할 기회를 가질 수 있어 굉장히 다행스럽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손 반장은 앞서 백신 접종을 시작한 미국, 영국과 한국의 코로나19 유행 상황의 다름을 강조하며 이들 국가를 반면교사로 삼기에는 다소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그는 “하루에 미국은 20만명, 영국은 3만5000명 정도 환자가 발생한다. 미국의 누적 사망자는 31만명, 여국은 6만7000명에 달한다”고 했다.
이어 “이들 국가는 백신 외 채택할 수 있는 방역전략이 별로 없어 백신에 전력투구하고 자국 기업을 통해 백신을 개발해 세계 최초로 접종한 것”이라고 부연했다.
손 반장은 “안전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고려할 때 세계에서 1, 2등으로 백신을 맞는 국가가 될 이유는 없다는 것이 보건당국의 판단”이라고 밝혔다.
손 반장은 “집단면역의 형성까지 짧게는 반 년, 길게는 9~10개월의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안전성이 확인 되는 순간 최대한 신속하게 위험도가 큰 대상을 중심으로 예방접종을 시작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부는 안전성에 대한 국민의 신뢰와 접종을 꼭 하겠다는 긍정적인 반응들을 이끌어내기 위해 잘 준비하겠다”고 전했다.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