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06 (일)

더파워

국토부 "코나 전기차 화재 원인, 배터리셀 불량으로 내부합선 가능성 높아"

메뉴

산업

국토부 "코나 전기차 화재 원인, 배터리셀 불량으로 내부합선 가능성 높아"

박현우 기자

기사입력 : 2021-02-24 14:46

코나EV·아이오닉·일렉시티 2만6000여대 리콜… "화재 재현 실험 계속 진행 중"

[사진제공=연합뉴스]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파워=박현우 기자] 최근 계속된 화재로 논란이 된 코나 전기차(EV) 사고와 관련해 국토교통부가 “화재 원인은 배터리 셀 불량(음극탭 접힘)으로 인한 내부 합선일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는 24일 현대차에서 제작·판매한 코나 EV 등 3개 차종 2만6699대에서 제작결함이 발견돼 자발적 시정조치(리콜)한다고 발표하며 이같이 말했다.

리콜 대상은 코나 EV 2만5083대, 아이오닉 전기차 1314대, 일렉시티(전기버스) 302대 등 총 2만6699대로 이달 29일부터 고전압배터리 시스템(BSA)을 모두 교체하는 리콜에 들어간다.

국토부에 따르면 이들 3개 차종에 사용된 배터리 중 LG에너지솔루션 중국 난징공장에서 초기(2017년 9월~2019년 7월)에 생산된 고전압 배터리 중 일부에서 셀 제조 불량으로 인한 내부 합선으로 화재 발생 가능성이 확인됐다.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KATRI)은 지난해 10월부터 최근까지 리콜로 수거된 고전압 배터리 정밀조사와 함께 화재 재현실험 등을 해 왔다.

국토부는 배터리 분해 정밀조사 결과 셀 내부 정렬 불량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다만 화재 재현 실험에서 이를 직접 확인하지는 못해 실험을 계속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국토부는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은 자동차안전연구원의 결함조사가 완료되지 않았지만 소비자 보호를 위해 기존 고전압배터리시스템(BSA)을 개선된 제품으로 전량 교체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코나 EV의 경우 지난 2018년 출시 이후 국내 11건, 해외 4건 등 총 15건의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는 작년 10월 코나 EV의 화재가 잇따르자 전세계에서 2017년 9월부터 작년 3월까지 제작된 코나 EV 7만7000대를 리콜했다.

리콜은 배터리관리시스템을 통해 이상 징후가 발견되면 배터리를 즉시 교체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그러나 지난달에는 리콜 조치를 받은 차량에서 불이 나 리콜의 실효성 논란이 일었다.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054.28 ▼61.99
코스닥 775.80 ▼17.53
코스피200 412.74 ▼8.20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8,095,000 ▲31,000
비트코인캐시 665,500 ▼1,500
이더리움 3,446,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2,340 ▼60
리플 3,036 ▼1
퀀텀 2,667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8,146,000 ▼9,000
이더리움 3,446,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2,310 ▼120
메탈 912 ▼4
리스크 512 ▼1
리플 3,036 ▼1
에이다 786 ▲1
스팀 173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8,090,000 ▼110,000
비트코인캐시 665,500 ▼2,500
이더리움 3,447,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2,350 ▼50
리플 3,037 ▼1
퀀텀 2,647 0
이오타 21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