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공매도 재개와 관련해 불법공매도 적발 시스템 구축 등 제도개선을 차질없이 이행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파워=김시연 기자]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오는 5월 3일부터 재개되는 공매도와 관련해 불법공매도 적발 시스템 구축 등 제도 개선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15일 은 위원장은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금융투자업 유관기관 및 증권사 대표 간담회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그는 “공매도 재개를 앞두고 투자자의 불안과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제도개선을 추진하겠다고 한 약속은 차질없이 이행해 나가겠다”면서 “불법공매도에 대한 처벌강화 및 시장조성자 제도개선은 이미 시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남은 두 과제는 불법공매도 적발시스템 구축과 개인공매도 기회확충인데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는 보고를 받았다”며 “보름 가량 남은 기간 중 참여기관간 합동 테스트를 거치는 등 준비사항을 차질없이 마무리하겠다”고 덧붙였다.
금융위에 따르면 한국거래소는 불법공매도 적발을 위한 별도조직을 신설하고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 완료했다.
또 개인이 공매도를 하기 위해 이수해야 하는 사전교육과 모의투자 관련 시스템도 오는 20일 오픈해 공매도 재개 전 미리 자격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한편 은 위원장은 지난 12일 2000년 9월 이후 처음 1000포인트대를 돌파한 코스닥 지수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금융투자업계와 거래소 등 유관기관, 기업·투자자·정부가 합심해서 이뤄낸 성과”라며 “그동안 모험자본과 도전하는 창업·벤처기업이 중심이 되는 코스닥시장의 매력을 살릴 수 있도록 테슬라 요건 등 적자기업 상장 허용, 기술특례 제도 도입 등 상장제도를 꾸준히 개편해 왔다”고 말했다.
또 “이에 따라 미래성장성이 높은 수많은 기업들이 코스닥시장에 상장됐고 투자자들에게 코스피시장과는 차별화된 투자시장이 됐다”며 “정부는 앞으로도 ‘한국판 뉴딜 추진’,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등 유망한 벤처·혁신기업이 코스닥 시장에 진출해 우리 경제가 한층 더 발전해 나가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은 위원장은 시세조종 등 불공정 행위 근절에도 집중하겠다는 의사를 전했다.
은 위원장은 “시세조종, 미공개정보 이용과 같은 불공정행위들은 선량한 투자자들의 피눈물로 크는 독버섯 같은 조재”라며 “예방에서 조사·처벌에 이르는 전 단계에서 유관기관간 긴밀하게 공조하는 한편 불공정거래 과징금 도입, 유사투자자문 불법행위 방지 등 제도개선 과제를 착실히 이행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