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이경호 기자] 롯데그룹이 국내 산업 생태계에 활력을 불어넣겠다며 5년간 37조 원에 이르는 투자 계획을 밝혔다.
투자 분야는 건강과 모빌리티, 지속가능성 부문과 코로나19로 위축되었던 유통과 관광을 비롯해 화학과 식품, 인프라 등이 망라된다.
롯데는 24일 신성장 테마(주제)인 헬스 앤 웰니스(Health&Wellness)와 모빌리티, 지속가능성 부문을 포함해 화학·식품·인프라 등 핵심 산업군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37조원 가운데 41%가 신사업과 건설, 렌탈, 인프라 분야에 투입된다.
바이오 사업이 포함된 헬스 앤 웰니스 부문에서는 국내에 바이오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을 위한 공장을 신설하는데 1조원 규모를 투자할 계획이다.
모빌리티 부문에서는 올해 실증 비행을 목표로 하는 도심항공교통(UAM)과 전기차 충전 인프라 중심으로 투자한다.
시설 투자를 통해 연간 충전기 생산량을 1만대 이상으로 확대하고, 롯데렌탈은 8조원 규모의 전기차 24만대를 도입한다.
화학사업군에서는 롯데케미칼이 5년간 수소 사업과 전지 소재 사업에 1조6천억원 이상을 투자한다.
자원 선순환 추세에 따라 리사이클(재활용)과 바이오 플라스틱 사업 분야에서는 2030년까지 1조원을 투자해 친환경 리사이클 제품 100만t(톤)을 생산한다.
화학사업군은 또 고부가 스페셜티 사업과 범용 석화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설비 투자와 생산 증설에 7조8천억원을 투자한다.
이와 함께 롯데벤처스는 2026년까지 국내 스타트업 투자를 3천6백억 원으로 확대하고 유통사업군은 8조 1천억 원을 투자해 대규모 복합몰 개발과 고용 창출에 나설 계획이다.
호텔사업군은 호텔과 면세점 시설에 2조 3천억 원을 투자하고 식품 사업군도 와인과 위스키, 대체육과 건강기능식품을 중심으로 2조 1천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5년간 투자 액수를 부문별로 보면 신사업과 건설, 렌탈과 인프라 부문에 합계 41%가 투자되고 화학사업군에는 25%, 유통사업군에 22%, 호텔과 식품에 각각 6%씩 투자된다.
롯데 관계자는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한편 신규 사업 추진으로 국내 산업 생태계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본격적인 투자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이경호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