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26 (토)

더파워

이재용 부회장의 결단... 삼성 "반도체·바이오 등 5년간 450조 투자, 8만명 신규 채용"

메뉴

산업

이재용 부회장의 결단... 삼성 "반도체·바이오 등 5년간 450조 투자, 8만명 신규 채용"

이경호 기자

기사입력 : 2022-05-24 17:00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사진=연합뉴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사진=연합뉴스
[더파워 이경호 기자] 삼성그룹이 5년간 450조원을 투자하고 8만명을 신규 채용하겠다는 내용을 담은 투자 계획안을 발표했다.

삼성은 24일 '역동적 혁신성장을 위한 삼성의 미래 준비'라는 제목으로 미래 먹거리 산업 육성을 위해 국내에서 지난 5년간에 비해 40% 늘어난 360조원을 투자하는 등, 전세계 사업장에서 450조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주 방한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이 삼성전자 평택공장을 방문한 지 불과 사흘 만에 나온 대규모 투자 발표로, 한미 '반도체 동맹' 강화와 현 정부의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 의지에 적극 부응하겠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또한 역대 위기 때마다 과감한 투자로 승부수를 던져온 삼성전자의 도전 정신이 다시 한번 발휘된 것으로도 풀이된다.

삼성은 ▲ 반도체 ▲ 바이오 ▲ 인공지능(AI) 및 차세대 통신과 같은 신성장 IT 등 미래 신사업에 향후 5년간 관계사와 함께 450조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이는 삼성이 지난 5년간 투자한 330조원 대비 120조원 늘어난 것으로, 연평균 투자 규모를 30% 이상 늘린 것이다.

총 투자액 450조원 가운데 80%인 360조원은 국내 투자액이다. 지난 5년간 국내 투자액 250조원보다 110조원 증가한 금액이다.

반도체의 경우 30년간 선도해온 메모리 분야의 ‘초격차’ 위상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신소재·신구조에 대한 연구개발(R&D)을 강화하고, 첨단 극자외선(EUV) 기술을 조기에 도입하는 등 첨단기술을 선제적으로 적용하기로 했다.

삼성은 고성능·저전력 AP(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5G·6G 등 초고속 통신 반도체 등에 필요한 팹리스(설계) 시스템반도체의 경쟁력도 확보할 방침이다. 파운드리(위탁생산) 사업에서는 차세대 생산 기술을 적용해 3나노 이하 제품을 조기 양산한다는 계획이다.

삼성은 바이오 분야에서도 공격적인 투자를 단행해 '제2의 반도체 신화'를 구현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중장기적으로는 바이오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및 시밀러(복제약)를 주축으로 하는 사업구조를 구축하기로 했다.

아울러 미래 산업경쟁력을 좌우하는 AI, 차세대 통신 등 신성장 IT 분야에서는 '초격차 혁신'을 통한 경쟁력 강화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삼성은 "미래먹거리와 신성장 IT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것은 국가 핵심 산업의 경쟁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는 동시에 사회 전반에 역동성을 불어넣겠다는 의도"라고 설명했다.

삼성은 특히 "삼성의 파운드리 사업이 세계 1위로 성장할 경우 삼성전자보다 큰 기업이 국내에 추가로 생기는 것과 비슷한 경제적 효과가 있다"면서 "경제안보 측면에서도 반도체·바이오 공급망을 국내에 두는 것은 수치로 표현되는 그 이상의 전략적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삼성은 이날 향후 5년간 핵심사업을 중심으로 8만명을 신규 채용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이경호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96.05 ▲5.60
코스닥 806.95 ▼2.94
코스피200 430.78 ▲0.7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038,000 ▲117,000
비트코인캐시 740,500 ▲1,500
이더리움 4,990,000 ▼18,000
이더리움클래식 30,110 ▼30
리플 4,176 ▼9
퀀텀 3,078 ▼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148,000 ▲274,000
이더리움 4,989,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30,170 ▲60
메탈 1,076 ▲7
리스크 625 ▼0
리플 4,185 0
에이다 1,075 ▼5
스팀 197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090,000 ▲180,000
비트코인캐시 741,500 ▲2,000
이더리움 4,982,000 ▼23,000
이더리움클래식 30,150 ▲10
리플 4,177 ▼8
퀀텀 3,074 0
이오타 27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