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그룹 회장/사진=연합뉴스[더파워 이경호 기자] SK그룹이 반도체(Chip)와 배터리(Battery), 바이오(Bio) 등 핵심 성장동력 강화를 위해 오는 2026년까지 247조원을 투자한다고 26일 밝혔다.
SK는 이들 3가지 분야의 영어 앞 글자를 따 'BBC'로 약칭하고 이를 키워나갈 5만명의 인재를 국내에서 채용할 계획이다.
SK의 이 같은 대규모 투자 및 고용 계획은 윤석열 정부의 핵심 경제 기조인 '민간 주도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취지로 풀이된다.
특히 SK는 이날 발표에서 247조원 가운데 국내 투자액이 179조원이라고 밝히면서 "이번 투자가 국가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전망"이라고 강조했다.
분야별로 보면 반도체 및 반도체 소재 투자액이 142조2천억원으로 가장 많다.
반도체 생태계를 위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을 비롯해 반도체 Fab, 특수가스와 웨이퍼 등 소재∙부품∙장비 관련 설비 증설 등이 주요 투자 대상이다.
SK는 또 전기차와 배터리 등 '그린 비즈니스'에 67조원, 디지털 25조원, 바이오 등에 12조 7천억원 등 전체 투자금의 90%를 3가지 주력 분야에 집중한다고 강조했다.
그린 에너지 분야는 전기차 배터리와 분리막 생산 설비를 증설하고, 최근 SK가 주력하는 수소 등 신재생에너지 생산설비를 갖추거나 글로벌 기업에 투자해 기술력과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바이오 분야는 뇌전증 신약과 의약품 위탁생산(CMO) 시설 증설, 디지털 분야는 유무선 통신망과 정보통신 콘텐츠 개발 등이 주요 투자 대상이라고 덧붙였다.
SK 관계자는 "2030년 기준 전세계 탄소 감축 목표량(210억t)의 1%인 2억t의 탄소를 줄인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것"이라며 "이를 통해 넷제로(Net Zero)를 앞당길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어 향후 5년간 5만명을 채용하기로 한 계획과 관련해서는 "성장동력을 찾고 이를 키워나가는 주체는 결국 인재라고 보고 고용 창출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기로 한 것"이라고 전했다.
이경호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