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이경호 기자] 코오롱그룹이 향후 5년간 첨단소재, 친환경에너지, 바이오 등 6개 분야에 총 4조 원 규모를 투입하는 투자 계획을 30일 발표했다.
이날 코오롱그룹은 주요 사장단이 참석한 원앤온리(One&Only)위원회에서 ‘미래 투자 및 고용 전략’를 논의해 이같은 내용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우선 코오롱그룹은 첨단소재 분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중기 투자액의 상당 규모를 첨단소재 사업에 할애했다. '슈퍼섬유'로 불리는 아라미드섬유 생산 설비 증설과 2차전지 소재를 비롯한 첨단신소재 사업 분야에 총 1조7천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또 풍력발전과 연료전지 소재, 수소 등 그린에너지 분야에 총 9,000억 원을 투자한다.
국내 풍력발전 시장에서 육·해상 풍력 사업망을 확대하는 것은 물론 기존설비를 개선하는 리파워링 사업에 집중할 계획이다. 풍력발전소의 심야 전력을 활용한 수전해 기술로 수소 생산에도 나선다.
이와 함께 바이오 분야에서는 신약 개발에 필요한 연구와 임상시험, 공정개발, 설비 투자 등에 4천500억원, 도심항공교통(UAM)과 우주발사체 복합소재 부품 등 미래 모빌리티 분야에는 1천억원을 각각 투자하기로 했다.
이외에도 기존 사업의 경쟁력 강화에 4천500억원, 사업기반 확대에 4천억원을 각각 투입할 계획이다.
한편 코오롱그룹은 취업 기회가 적은 취업약자층을 주요 대상으로 하는 채용전략도 확정했다.
퇴역 군인과 소방관 등 '특수 직업군'과 장애인, 다문화가정 및 이주배경 청년 등 사회적 배려가 필요한 '취업 약자층'에게도 고용의 기회를 넓히겠다는 의지다.
안병덕 코오롱 부회장은 "투자로 일자리를 만드는 것뿐 아니라 우리가 존중해야 할 분들에 대한 재취업 기회를 보장하고, 취업의 기회조차 갖기 어려운 이웃을 살피는 것 또한 기업의 본연 의무"라며 "앞으로 코오롱은 이들의 채용 및 육성을 계열사 CEO가 직접 챙기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코오롱 계열사 CEO들은 각 사의 상황에 맞는 일자리 창출 및 육성 방안을 경영성과지표로 관리할 예정이다.
코오롱그룹은 모빌리티 플랫폼 운송사업에서 올해 안으로 퇴직 군인을 채용하는 것을 시작으로 소방관과 경찰관 등으로 채용 영역을 넓히기로 했다.
아울러 장애인 체육선수 채용 규모 확대와 호텔 사업장 내 다문화 가정 및 이주배경 청년 채용 확대, 마이스터고 등 직업계고 졸업생 신규 채용 확대 등도 추진한다.
회사 관계자는 "우리 사회와 함께 호흡하고 함께 번영하며 존경받는 기업으로 우뚝 서자는 의미로 '리치앤페이머스'(Rich&Famous)를 올해의 경영 방침으로 발표했듯 앞으로도 사회와 동행하는 일자리 창출에 앞장설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