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25 (금)

더파워

국내 대기업 76곳 1년새 고용 6만명↑... 쿠팡, 일자리 창출 약속 지켰다

메뉴

산업

국내 대기업 76곳 1년새 고용 6만명↑... 쿠팡, 일자리 창출 약속 지켰다

이경호 기자

기사입력 : 2022-06-02 11:32

국내 대기업 76곳 1년새 고용 6만명↑... 쿠팡, 일자리 창출 약속 지켰다
[더파워 이경호 기자] 쿠팡이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정한 76개 대기업집단 중 가장 많이 일자리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쿠팡은 2021년 기준 3만명 가까이 직원수를 늘리며 국내 주요 그룹 중 최다 고용 증가를 기록했다.

지난해 말 기준 직원을 가장 많이 고용한 그룹은 삼성이었고, 단일 기업 중 삼성전자가 유일하게 '고용 10만명 클럽'에 가입한 것으로 파악됐다.

2일 한국CXO연구소가 발표한 ‘공정위 지정 76개 대기업그룹 2020년~2021년 고용 변동 분석’에 따르면 76개 그룹 중 최근 1년 새 직원 수가 증가한 곳은 42곳으로 파악됐다.

조사 대상은 공정거래위원회가 올해 지정한 자산 5조원이 넘는 76개 대기업 집단이다.

조사 결과 이들 76개 대기업 집단 내 국내 계열사는 2천886곳이며 이중 고용 인원이 1명 이상인 기업은 2천328곳이었다.

76개 그룹 중 최근 1년 새 직원 수가 증가한 곳은 42곳, 직원 수가 줄어든 곳은 25곳이었다. 9곳은 올해 대기업 집단으로 신규 편입돼 고용 인원 증감을 파악하기 어렵거나 직원 수에 변동이 없었다.

쿠팡 그룹의 직원 수는 2020년 4만3천402명에서 지난해 7만2천763명으로 2만9천361명 늘었다. 이는 76개 그룹이 1년 새 늘린 인원(6만3천740명)의 46.1%에 달하는 규모다.

쿠팡 다음으로는 현대자동차 그룹이 같은 기간 8027명 늘렸다. 현대차는 2020년 16만6925명에서 2021년 17만4962명으로 직원 수가 증가했다.

중흥건설은 2020년 기준 직원 수가 1500명대 수준에 불과했으나, 대우건설을 품으면서 지난해 8401명으로 1년 새 6865명이나 늘었다.

이어 ▲삼성(4728명↑) ▲신세계(4431명↑) ▲LG(4158명↑) ▲카카오(3967명↑) ▲SK(2596명↑) ▲현대중공업(2449명↑) ▲네이버(1795명↑) 순으로 최근 1년 새 고용을 많이 늘린 상위 10대 그룹에 이름을 올렸다.

국내 대기업 76곳 1년새 고용 6만명↑... 쿠팡, 일자리 창출 약속 지켰다

1년 새 1천명 넘게 그룹 직원 수가 감소한 곳은 7곳이었다.

두산은 2020년 1만4천987명에서 지난해 1만670명으로, 직원이 4천317명이나 줄었다.

이어 효성(2천481명↓), 한진(2천34명↓), 이랜드(1천878명↓), KT(1천734명↓), 금호아시아나(1천242명↓), 아모레퍼시픽(1천82명↓) 등도 1년 새 1천명 이상 직원이 줄었다.

삼성전자(10만9천253명)는 단일 기업 중 유일하게 직원 수가 10만명을 넘어섰다. 이어 현대차(7만1천880명), 쿠팡풀필먼트서비스(4만6천306명), LG전자(3만8천388명), 기아(3만5천120명) 등의 순으로 직원 수가 많았다.

특히 쿠팡풀필먼트서비스는 1년 새 2만6천644명이나 일자리가 늘었다.

지난해 기준 그룹 전체의 고용 규모별 순위는 삼성이 26만6천854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현대차(17만4천952명), LG(15만8천791명), SK(11만7천438명) 등이 고용 10만명을 넘겼다.

롯데(8만3천179명), 쿠팡(7만2천763명), 신세계(7만2천446명), KT(5만8천49명), CJ(5만2천931명), 한화(4만2천378명) 그룹도 고용 규모에서 상위 10위에 속했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 소장은 "대기업들이 과거부터 대규모 채용 규모 계획을 지속 발표해 왔지만 신규 채용을 크게 늘리는 뒷면으로 기존 직원들이 회사를 떠나는 경우도 증가해 실질적인 고용 규모는 크게 늘고 있지 않고 있다"며 "국내 경영 환경에서 향후 국내 고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려면 전통적인 제조업에서보다는 IT를 기반으로 하는 물류 및 유통, 서비스 업종과 함께 신규 사업 등에서 직원 수를 확대해 나가는 것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경호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96.05 ▲5.60
코스닥 806.95 ▼2.94
코스피200 430.78 ▲0.7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007,000 ▲103,000
비트코인캐시 745,000 ▼5,500
이더리움 5,070,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30,810 ▼30
리플 4,270 0
퀀텀 3,119 ▼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000,000 ▲110,000
이더리움 5,065,000 0
이더리움클래식 30,780 ▼30
메탈 1,088 ▲1
리스크 631 ▼0
리플 4,264 ▼8
에이다 1,102 ▼2
스팀 199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980,000 ▲100,000
비트코인캐시 745,500 ▼7,500
이더리움 5,070,000 0
이더리움클래식 30,790 ▼40
리플 4,268 ▼2
퀀텀 3,137 0
이오타 28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