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05 (토)

더파워

대중 수출기업 10곳 중 8곳 "수출 회복 연내 어려울 것"

메뉴

이슈포커스

대중 수출기업 10곳 중 8곳 "수출 회복 연내 어려울 것"

이경호 기자

기사입력 : 2023-05-10 14:11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출처=클립아트코리아
[더파워 이경호 기자] 대중(對中) 무역적자가 7개월째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수출기업들은 이 같은 부진 흐름이 올해 안에 개선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대중국 수출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50.7%가 '올해 들어 중국 수출 위축과 부진을 체감하고 있다'고 답했다고 10일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중 수출기업의 84.3%는 올해 안에 대중 수출 회복이 어려울 것으로 내다 봤다. 2~5년 후에야 회복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40%에 달했고, 내년에야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 답변도 27.3%나 됐다. ‘예년 수준으로의 회복이 어려울 것’이라는 응답(17%)도 있었다.

전체 응답 기업의 84.3%는 올해 안에 대중국 수출 회복이 어려울 것으로 내다본 것이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대중 수출 부진은 반도체 단가 하락과 중국 기업들의 보유 재고량 증대 등 단기적 요인과 함께 한국으로부터 수입하던 중간재의 자급률 상승 등 구조적 요인이 복합 작용했기 때문"이라며 "반도체 가격 상승과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만을 바라고 있기보다는 최근 10년간 보여 온 대중 수출의 정체 추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실제 기업들은 중국의 빠른 기술 성장에 위협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기업이 체감하는 중국 기업과의 기술경쟁력 격차를 묻는 질문에 ‘비슷한 수준’(36.6%)이거나 ‘뒤처진다’(3.7%)고 답한 기업이 40.3%에 달했다.

중국보다 앞선다는 응답 기업들도 기술 격차에 대해 ‘3년 이내’(38.7%)를 가장 많이 꼽았다. ‘5년 이내’(15%)와 ‘5년 이상’(6%)의 합보다 더 많았다. 중국과의 기술경쟁력 우위를 유지할 수 있는 ‘골든 타임’이 3년 밖에 남지 않았다는 위기감이 엿보이는 대목이다.

최근 중국에서 일어나는 '궈차오'(애국소비) 열풍으로 한국 제품과 중간재에 대한 선호도 감소를 체감한다고 답한 기업도 32.7%였다.

중국을 대체할 수출시장으로는 아세안(37.3%), 인도(31.7%), 미국(12.7%), 중동(9%) 등이 꼽혔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미중 갈등 심화와 코로나 봉쇄 경험으로 글로벌 생산거점의 중국 이탈이 가속화되고, 중국의 자급률 제고도 첨단산업과 고부가가치 품목으로까지 확대되는 양상"이라며 "무역흑자 전환을 앞당길 수 있는 단기 정책과 더불어 주력 제조업의 고도화, 첨단산업분야 기술투자 위험분담 등 수출·산업 경쟁력 전반을 쇄신할 수 있는 구조적 대책 마련을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054.28 ▼61.99
코스닥 775.80 ▼17.53
코스피200 412.74 ▼8.20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950,000 ▲112,000
비트코인캐시 665,500 ▲5,000
이더리움 3,442,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2,270 ▼70
리플 3,039 ▼2
퀀텀 2,660 ▼1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975,000 ▼14,000
이더리움 3,442,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2,300 ▼70
메탈 913 ▼3
리스크 516 ▼3
리플 3,042 ▼1
에이다 788 ▼3
스팀 175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7,960,000 ▼10,000
비트코인캐시 667,000 ▲7,000
이더리움 3,444,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2,320 ▼100
리플 3,041 ▼2
퀀텀 2,649 ▼21
이오타 213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