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희삼성준감위원장/사진=연합뉴스[더파워 이경호 기자]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이하 준감위)가 18일 오전 삼성의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재가입과 관련해 “한경협(전경련)이 과연 정경유착의 고리를 완전히 단절하고 환골탈태할 수 있을 지에 대해 확신을 가질 수 없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삼성이 전경련에 복귀하더라도 정경유착 발생 시에는 즉시 탈퇴할 것을 권고했다.
이찬희 삼성 준감위원장은 이날 오전 삼성생명 서초사옥에서 임시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이 같이 밝혔다.
이 위원장은 "만약 가입했을 경우 전경련의 정경유착 행위가 지속된다면 즉시 탈퇴할 것을 비롯해 운영과 회계의 투명성 확보 방안 등에 대해 철저한 검토를 거친 뒤 결정할 것을 권고했다"고 말했다.
이어 "정경유착의 고리를 정말 완전히 단절할 수 있는가가 가장 큰 논의의 대상이었다"며 "전경련의 인적 구성과 운영에 정치권이 개입해서는 절대로 안된다는 점이 가장 큰 우려 사항이었다"고 설명했다.
이 위원장은 "현재의 전경련 혁신안은 단순히 선언에 그칠 뿐이고 실제로 그것이 실현될 가능성, 그것을 실천할 의지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우려스러운 입장"이라며 "위원회는 근본적인 우려를 표명했고 이사회와 경영진에서 (재가입은) 구체적으로 판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준감위는 지난 16일 임시회의를 개최하고 전경련 재가입과 관련해 논의했지만 의견 통일에 실패, 이날 2차 회의를 진행했다.
삼성그룹 5개 계열사는 이후 각자 이사회를 열어 전경련 복귀를 여부를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앞서 삼성그룹은 지난 2016년 국정농단 사태 때 정경유착의 고리를 끊겠다며 전경련을 탈퇴했다.
한편, 전경련은 오는 22일 임시총회를 통해 전경련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을 흡수·통합하고, 명칭을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로 바꾸고 류진 풍산 회장을 신임 전경련 회장으로 추대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