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05 (토)

더파워

경제 전문가 73% "우리 경제, 장기간 1~2%대 저성장 지속될 것"

메뉴

이슈포커스

경제 전문가 73% "우리 경제, 장기간 1~2%대 저성장 지속될 것"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3-12-12 16:33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더파워 최병수 기자] 우리 경제가 장기간 1~2%대 저성장 기조를 이어갈 것이란 경제 전문가들의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12일 한국경영자총협회는 경제전문가(경제·경영학과 교수 211명, 응답자 기준)를 대상으로 한 '최근 경제 상황과 주요 현안'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3.2%는 우리 경제가 장기간 1~2% 대의 저성장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2024년 하반기 또는 2025년’에 환율(63.5%)과 물가(72.1%)가 안정화될 것이란 응답이 많았다. 법인세와 상속세 최고세율은 지금보다 낮춰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우리 경제성장률이 향후 어떤 모습으로 전개될 것인가에 대한 설문에서, 응답자의 73.2%는 우리 경제가 “장기간 동안 1~2%대의 저성장 기조가 지속될 것”이라고 답했다. “내년에 2%대에 진입하고 2025년부터 평균 3%대 수준으로 성장할 것”이란 응답은 14.4%, “우리 경제가 빠르게 회복해 내년부터 평균 3%대 수준으로 성장할 것”이란 응답은 1.4%에 그쳤다.

경제 전문가 73% "우리 경제, 장기간 1~2%대 저성장 지속될 것"
최근 어려운 경제 상황의 주된 원인에 대해 응답자의 50.5%는 ‘이-팔, 러-우 전쟁, 미-중 패권 다툼, 고물가 등 전세계적인 경제・정치 리스크’라고 답했다. 그 다음으로 ’정책당국의 신속한 위기 대응 미흡‘ 23.8%, 과도한 규제 등 글로벌 스탠다드에 뒤처진 법‧제도’ 19.4%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다만 ‘기업의 혁신 부족’ 때문이라는 응답은 6.3%에 불과해 기업의 혁신 노력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한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1,300원 수준으로 높아진 환율(원/달러)이 기존 변동 범위(1,050원~1,250원) 안에서 안정화되는 시기에 대해서는, ’2024년 하반기‘로 예상한 응답이 32.7%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2025년‘ 30.8%로 나타났다. 환율이 “기존 범위에서 안정화되지 않고 변동 범위 자체가 상향 조정될 것“이란 응답도 26.0%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결정과 관련, 응답자의 61.1%는 “불확실한 경제 상황을 고려하여 기준금리를 당분간 현행 수준에서 유지해야 한다”고 답했다. 또한 “가계부채 관리, 자본유출 방지, 고물가 억제 등이 더 시급하므로 기준금리를 더 인상해야 한다”는 응답은 25.6%, “소비 촉진, 투자 활성화 등 경기 부양과 성장 제고를 위해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는 응답은 13.3%로 각각 집계됐다.

경제 전문가 73% "우리 경제, 장기간 1~2%대 저성장 지속될 것"
또한 우리 물가상승률이 목표 수준(2%)에 도달하는 시기에 대해서는, ’2025년‘ 응답이 37.0%로 가장 높았고, 그다음으로 ’2024년 하반기‘ 응답 35.1%, ’2026년 이후‘ 응답 20.4%로 나타났다. 2024년 상반기에 물가가 2%대에 도달할 것이란 응답은 7.6%에 불과했다.

법인세제에 대해서는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최고세율을 현행(24%, 중앙정부 기준) 수준보다 더 낮춰야 한다는 응답이 66.1%로 가장 많았다. 다만, 전문가 중 29.7%는 ’중장기적으로는 더 인하하되, 당분간은 現 수준에서 유지해야 한다‘고 응답해 현 재정 상황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법인세 최고세율을 현행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은 15.8%, 지금보다 인상해야 한다는 응답은 18.2%에 그쳤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횡재세’(windfall profits tax)에 대한 설문에서는, 응답자의 57.8%가 “특정 시점의 높은 이익을 이유로 횡재세를 걷는 것은 시장 원칙에 맞지 않는 조치로 부과해서는 안된다”고 답했다.

반면 “최근 상황에서 일부 업종의 높은 이윤에 대해서는 (횡재세를) 부과해야 한다”는 응답은 27.0%, “상생 강화 차원에서 더 포괄적으로 부과되어야 한다“는 응답은 15.2%였다.

상속세 최고세율을 낮추거나 폐지하고 자본이득세로 전환해야 한다는 응답이 70.6%로 나타났다. 반면 상속세 최고세율을 ’현행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은 17.1%, ’인상‘해야 한다는 응답은 12.3%에 불과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054.28 ▼61.99
코스닥 775.80 ▼17.53
코스피200 412.74 ▼8.20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8,059,000 ▲39,000
비트코인캐시 661,500 ▼500
이더리움 3,448,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2,350 ▼50
리플 3,043 ▲1
퀀텀 2,670 ▼1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8,197,000 ▲30,000
이더리움 3,454,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2,370 ▼70
메탈 918 ▲2
리스크 515 ▼0
리플 3,044 ▼1
에이다 792 ▲1
스팀 176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8,200,000 ▲10,000
비트코인캐시 663,000 ▲1,000
이더리움 3,450,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2,340 ▼90
리플 3,045 0
퀀텀 2,678 ▲8
이오타 21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