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9 (토)

더파워

2027년까지 매출 200조 달성... 4차 물류시설개발 종합계획 수립

메뉴

산업

2027년까지 매출 200조 달성... 4차 물류시설개발 종합계획 수립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3-12-26 11:17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더파워 유연수 기자] 정부가 2023년부터 5년간 '편리한 일상과 신산업으로 도약을 위한 첨단 물류 인프라 구축'을 비전으로, 2027년까지 물류산업 매출액 200조원, 일자리 90만개, 부가가치 비중 46% 달성을 목표로 설정했다.

국토교통부는 5년 단위의 '제4차 물류시설개발 종합계획'(이하 종합계획)을 수립, 확정했다고 26일 밝혔다.

종합계획은 '물류시설법'에 따라 전문기관 연구와 물류업계·유관기관 의견수렴, 관계부처 협의, 공청회 등을 거쳐 물류시설의 합리적 개발·배치와 물류체계 효율화 등을 위해 5년마다 수립하는 법정 계획이다.

이와 함께 6대 추진 전략으로 생활밀착형 도시물류 인프라 확충, 노후화한 기존 물류시설 재정비·개선, 지역 격차 없는 물류 서비스 기반 제공, 물류시설 스마트화, 친환경·안전한 물류체계 구축, 국제 물류허브 기반 조성 등의 계획을 마련했다.

오는 2027년까지는 주문배송시설을 200개 이상 확충하고 운영기간이 도래하는 내륙물류기지의 재정비 방안을 제시하는 한편, 미래 교통수단과 연계한 물류시설 개발방향을 제시하는 등 7대 핵심과제도 종합계획에 포함됐다.

국토부는 우선 주거지역 생필품 즉시 배송이 가능하도록 수요를 예측해서 소형·경량 위주로 화물을 미리 보관하고 대응하는 주문배송시설(MFC)의 도심 배치를 위한 규제 완화 등 도시 물류 인프라를 확충할 방침이다.

운영기간이 2026년과 2028년에 끝나는 의왕 ICD(내륙컨테이너 기지)와 군포 ITF(복합물류터미널)가 노후화됐다는 지적에 따라 해당 시설을 개선하고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전국에 산재된 각종 일반물류터미널, 여객터미널 등의 도심물류시설은 주민친화시설도 재정비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복합화한다.

도서산간 지역은 경로당, 주민센터, 터미널 등 공공시설을 공동물류거점으로 만들어 지역 일자리를 창출하는 방안도 이번에 담겼다. 또 중소·영세 물류기업이 공동 이용할 수 있는 공유형 물류센터 건립도 확대한다.

친환경적이고 안전환 물류체계 구축을 위해 집접물류시설 등에 화물차용 수소·전기 충전소 구축을 확대하고 철도수송분담률 제고를 꾀하기 위한 장대화물열차·피기백 등 신기술을 적용하기로 했으며 물류산업 종사자의 안전한 근로여건도 마련할 계획이다.

이윤상 국토부 교통물류실장은 "향후 5년간 제4차 물류시설개발종합계획을 차질 없이 이행할 계획"이라며 "물류 산업 전반에 걸친 혁신이 이뤄지도록 지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027년까지 매출 200조 달성... 4차 물류시설개발 종합계획 수립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88.07 ▼4.22
코스닥 820.67 ▲2.40
코스피200 431.10 ▼0.54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260,000 ▲260,000
비트코인캐시 699,000 ▼1,000
이더리움 4,886,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33,570 ▲70
리플 4,718 ▼20
퀀텀 3,319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218,000 ▲234,000
이더리움 4,886,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33,650 ▲120
메탈 1,103 ▲2
리스크 635 ▲4
리플 4,715 ▼15
에이다 1,140 ▼4
스팀 207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280,000 ▲200,000
비트코인캐시 698,000 ▼1,500
이더리움 4,886,000 0
이더리움클래식 33,670 ▲110
리플 4,716 ▼23
퀀텀 3,303 ▼15
이오타 3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