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8 (금)

더파워

LG엔솔, 지난해 영업익 2조1632억… 전년비 78.2%↑

메뉴

산업

LG엔솔, 지난해 영업익 2조1632억… 전년비 78.2%↑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4-01-26 15:26

LG엔솔, 지난해 영업익 2조1632억… 전년비 78.2%↑
[더파워 유연수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지난해 매출 33조7455억원, 영업이익 2조1632억원을 달성했다고 26일 밝혔다. 전년 대비 매출은 31.8%, 영업이익은 78.2% 증가한 수치다.

이창실 LG에너지솔루션 최고재무책임자(CFO)는 "매출은 견조한 성장세를 보인 북미 지역 수요에 적극 대응하면서 2년 연속 30% 이상 고성장을 이어갔다"며 "영업이익 또한 물류비 절감, 수율 및 생산성 향상 등 원가개선 노력과 인플레이션 감축법 세제혜택(IRA Tax Credit) 수혜를 통해 전년 대비 78% 상승했다"고 말했다.

지난해는 LG에너지솔루션이 미래에 가장 가파른 성장세가 예상되는 북미 지역 사업을 본격화했던 한해였다.

GM 조인트벤처(JV) 1공장의 안정적 양산 전개, 애리조나 원통형·에너지저장장치(ESS) 공장 건설 등 북미 생산 역량 확보를 위한 노력을 지속했다. 현대차그룹과 약 30GWh 규모의 합작법인 설립, 글로벌 1위 토요타와 20GWh 규모의 공급계약 체결 등 고객 포트폴리오도 더욱 공고히 했다.

또한 미국 자유무역협정(FTA) 권역 내 IRA 적격 광물 소싱을 확대하고 권역별 주요 파트너사들과의 전략적 협업도 확대하는 등 안정적 공급망 구축에도 유의미한 성과를 거뒀다.

지난해 4분기 매출은 8조14억원, 영업이익은 3382억원이다. 매출의 경우 전분기 및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7%, 6.3%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53.7% 감소, 전년 동기 대비 42.5% 증가했다.

4분기 영업이익에 반영된 미국 IRA 세액 공제 금액은 2501억원이다. 미국 현지 생산시설의 안정적 양산에 따라 전분기 대비 16% 늘었다. IRA 세액 공제 금액을 제외한 4분기 영업이익은 881억원이다.

LG엔솔, 지난해 영업익 2조1632억… 전년비 78.2%↑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전기차 시장이 약 20% 중반 수준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성장을 이끌었던 북미 지역 성장률이 올해 30% 초중반으로 주춤하는 등 매년 30%가 넘었던 종합적인 시장 성장세가 일시적으로 둔화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하지만 이 같은 상황 속에서도 LG에너지솔루션은 “성장 모멘텀을 지속할 수 있는 기회요인이 상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우선 전기차 시장 수요의 약세에 따른 완성차 업체들의 적극적인 가격인하, 보급형 모델 출시는 소비자 구매심리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했다. 메탈 가격 하락세 장기화 역시 OEM들의 배터리 가격 부담을 완화시켜 향후 배터리 재고 재확보 수요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LG에너지솔루션의 경쟁력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는 기회로 내다봤다. 현재의 시장 상황은 고성장이 예고된 북미 시장에 선제적으로 8개의 생산공장을 운영·건설 중인 LG에너지솔루션의 선진입 효과를 극대화하고 나아가 기술 리더십을 차별화할 수 있는 시간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날 LG에너지솔루션은 △기술 리더십 구축 △원가 경쟁력 확보 △미래 사업 준비 등 일시적 위기 상황을 더 큰 도약의 발판으로 삼기 위한 중점 추진 계획도 발표했다.

회사는 경쟁사를 압도하는 기술 리더십을 구축한다는 목표다. 프리미엄 제품인 하이니켈 NCMA(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 제품 역량을 높여 경쟁 우위를 지속하고 중저가 시장 공략을 위한 고전압 미드 니켈 NCM(니켈·코발트·망간),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기술 개발을 가속한다.

아울러 원재료 직접 조달(Sourcing) 영역 확대 및 기술 개발을 통한 주요 소재 전환, 공급망 직접 투자 강화 등을 통해 근본적 원가 경쟁력을 높일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2027년 리튬황 전지 양산 등을 목표로 차세대 전지 개발에 집중할 계획이다. 또 에너지밀도와 비용에 강점이 있는 건식전극 개발을 가속화하고 신규 스태킹(Stacking) 기술 기반 제품도 올해부터 양산에 본격 적용한다.

이날 LG에너지솔루션은 "2024년 매출은 한 자릿수 중반대의 성장을 예상한다"고 밝혔다. 생산시설 투자는 전년과 유사한 규모(약 10조9000억원)로 진행할 예정이다.

향후 수요 회복 시기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GM JV2 공장 및 스텔란티스·혼다·현대차 합작공장 등 북미 지역 내 생산거점 확대를 위한 준비에 집중하면서 시장 상황에 맞춰 효율적이고 유연하게 투자비를 집행한다는 구상이다.

올해 IRA 세액공제 수혜 규모는 전년 대비 두 배 이상인 45~50GWh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LG에너지솔루션 최고경영자(CEO)인 김동명 사장은 “올해는 기술리더십 등 근본적 경쟁력 강화, 차별화된 고객가치 실현 등을 바탕으로 ‘LG에너지솔루션 2.0 시대’를 시작하는 시작점이 될 것”이라며 “질적인 몰입을 바탕으로 단단한 사업구조와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92.29 ▲5.91
코스닥 818.27 ▲6.04
코스피200 431.64 ▲0.48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642,000 ▲340,000
비트코인캐시 674,000 0
이더리움 4,659,000 0
이더리움클래식 27,060 ▲70
리플 4,394 ▼18
퀀텀 3,201 ▲18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568,000 ▲234,000
이더리움 4,654,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7,050 ▼20
메탈 1,098 ▲4
리스크 628 ▼6
리플 4,392 ▼20
에이다 1,088 ▼1
스팀 203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800,000 ▲390,000
비트코인캐시 674,000 ▼1,000
이더리움 4,660,000 0
이더리움클래식 27,080 ▲30
리플 4,399 ▼13
퀀텀 3,190 ▲41
이오타 317 ▲3